▲ 김갑성 사회부 양산본부장

한국지역난방공사가 경남 양산신도시에 천연가스(LNG) 열병합발전소 건설을 추진하자 인근 주민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환경’과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LNG) 열병합발전소 건설 계획이 나온 것은 현재 사용 중인 열전용보일러(첨두부하보일러)의 경제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난방공사는 아파트 입주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양산신도시에 더욱 안정적인 난방 공급을 위해서는 경제성이 낮은 열전용보일러 대신 발전소 신설로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난방공사는 사업비 1081억원을 들여 난방공사 양산지사(동면 석산리 657-4) 내 2만637㎡ 부지에 114㎿의 전기와 81.1Gcal/h의 열을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소를 내년에 착공, 2023년 4월까지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난방공사는 1997년부터 지난해까지 누적 적자가 703억원에 달하고 올해도 50억원의 영업손실이 예상되는 만큼 열생산단가 경쟁력이 큰 발전소 신설이 절실한 형편이다. 또 적자가 늘어나면 주민이 부담해야 할 요금 역시 사용자 부담 원칙에 따라 늘어날 수밖에 없어 현재 요금 수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주민들과 환경단체가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안전과 환경오염 문제다. 천연가스를 원료로 사용한다지만 도심 한가운데 있는 발전소가 대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난방공사는 발전소가 오히려 질소산화물과 같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다고 해명하고 있다. 열전용보일러가 연간 63t의 질소산화물을 배출한다면 발전소는 연간 33t 규모라고 설명하고 있다. 질소산화물 배출 설계 기준을 법적 기준인 20ppm보다 낮은 5ppm으로 계획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오염물질 측정값을 자동측정기기로 환경공단·양산시에 실시간 전송해 운영 투명성을 높이고 배출기준인 5ppm을 초과할 때 자동으로 발전소 운영을 중단하는 시스템을 갖춘다는 환경 문제 대책을 내놨다.

주민들은 신도시 중심에 있는 발전소를 위험시설로 보고 있다. 도심에 발전소가 들어서는 것에 대한 우려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양산단층대에 속해 지진 위험이 높아진 상황에서 다량의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발전소가 집 근처에서 가동될 경우 큰 불안의 요인일 수밖에 없다. 난방공사는 별도의 저장시설 없이 기존 도시가스 배관을 이용하고, 내진설계를 통해 충분히 지진에 대비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열병합발전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집단에너지 공급대상지역으로 지정한 신도시지역 일대에 난방용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난방공사는 1997년 7월부터 난방 공급을 시작해 현재 신도시지역 아파트 4만7000여가구에 난방을 공급하고 있다. 난방공사는 지난 8월부터 주민간담회를 갖는 등 주민불신 해소에 적극 나섰다. 난방공사는 주민설명회에서 “일부 지자체에서 문제가 된 발암물질 검출은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발전소가 아니라 폐기물 연료(SRF)를 사용하는 발전소 문제”라며 “주민들이 발전소 터에 함께 있는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과 혼동해 생긴 오해”라고 설명했다.

난방공사는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담은 주민설명회 이전에 지역별 간담회를 통해 주민들의 오해를 풀고 사업이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난방공사는 주민들의 불안과 불신을 해소하지 않고서는 정상적인 사업추진이 어렵다는 점에서 주민들이 납득할 만한‘해법’도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해법의 무게 중심에 따라 사업의 승패도 갈리기 때문이다.

김갑성 사회부 양산본부장 gskim@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