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울산형 열린시립대학’ 설립을 위한 추진위를 발족했다. 인구감소와 대학증가로 인해 대학신설이 어불성설로 여겨지는 시대다. 자치단체의 대학설립이 시민들의 이해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울산시가 대학설립을 위해 용역비를 내년 예산안에 반영했다. 지난 9월 제2회 추경에서 열린시립대학 설립을 위한 연구용역비 5000만원을 편성했다가 시의회가 전액 삭감하는 바람에 내년 예산에 다시 편성한 것이다. 송철호 울산시장의 의지가 강력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예산 확보에 앞서 울산시는 이미 ‘울산형 열린시립대학 설립 추진기획단’을 발족했다. 김선조 기획조정실장을 단장으로 하는 14명의 추진기획단은 20일 포스텍 정보통신대학원을 방문, 열린시립대학 운영의 모델이 될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거꾸로 학습)과 케이무크(K-MOOC 온라인공개강좌)를 살펴보고 왔다. 열린시립대학은 포스텍 정보통신대학원 임진혁 교수가 제안한 것으로 송시장 공약 중 하나다.

울산시가 계획하는 열린시립대학은 입학시험 없이 누구나 수강할 수 있는 대신 일정한 인증을 받으면 학사증을 받도록 하는 ‘학습기간 단기화 인증 제도(나노디그리)’로 운영되는 학교다. 학습방법은 플립드러닝과 무크로 진행, 자기주도학습과 역량기반의 교육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시투입이 가능한 실무형 IT인재를 길러내는 프랑스의 에콜42와 비슷하다.

대학 신설을 무조건적 부정적 시각으로만 볼 일은 아니다. 전국적으로 대학정원을 줄여야한다고 해도 지역 학생들이 대거 타지로 진학해야 하는 울산의 현실을 마냥 무시할 수는 없다. 기존 대학이 우리 사회의 요구에 따르지 못하고 있으면서 개선의 여지가 없다면 전혀 새로운 방식의 교육을 추구하는 대학 설립도 모색해볼 일이다. ‘열린대학’은 이론적으로는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길러내는 대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얼마나 성과를 낼 수 있을지에 대한 신중한 검토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울산시의회는 제2회 추경에서 “학령인구 감소 등 대학 설립의 필요성에 대한 지난해 울산발전연구원의 연구 용역 결과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했고 “구체적인 계획 없이 대학설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는 것이 옳으냐”고도 반문했다. 맞는 말이다. 수백억원이 들어가는 일인만큼 분명한 당위성을 확보하고 시민적 공감대도 형성해야 한다. 급하다고 해서 바늘허리에 실을 꿸 수는 없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