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꺼내든 ‘신(新) 유로변경안’
사연댐의 기능 극대화하면서
세계유산 등재·암각화 보전
사업비는 기존보다 5배 늘어

시, 정부 방안 최우선하되
여의치 않으면 곧바로 전환
원형고수 문화재청 설득 관건

울산시가 10년만에 울산시가 반구대암각화 보전해법으로 ‘신(新) 유로변경안’을 꺼내들었다. 기존 유로변경안에 비해 5배가 넘는 2500억원의 비용이 들어가지만, 식수원인 사연댐 기능을 극대화하면서 암각화 보전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 유리한 최적안으로 울산시는 꼽고 있다.

울산시가 신 유로변경안을 고안한 배경은 울산을 비롯한 낙동강수계 지역의 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무총리실 주도로 내년에 진행예정인 ‘구미 산업폐기물에 대한 무방류시스템 도입 용역’(본보 11월6일자 1면 보도)에 대한 차선책의 일환이다.

정부는 용역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와 청도 운문댐 물 일부를 울산으로 가져와 사연댐 수위조절을 통한 암각화 보전해법을 기대하지만, 울산입장에선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 무엇보다 용역결과를 떠나 울산과 운문댐 물을 공유하는데 대한 구미와 대구시민들의 반감이 매우 크다. 때문에 울산은 정부의 용역에만 기대만 있을 수는 없는 처지다. 정부의 방책을 최우선하되 시는 이같은 신 유로변경안을 준비해 놓고, 정부의 방안이 여의치 않으면 곧바로 전환한다는 전략이다.

◇암각화와 제방 최대한 멀리 “훼손 최소화”

먼저 신 유로변경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0년전 문화재청에 의해 사장된 ‘터널형 유로변경안’을 살펴봐야 한다. 터널형 유로변경안은 반구대 암각화를 기준으로 위쪽 210m와 아래쪽 200m 지점에 각각 제방을 쌓아 물길을 차단한 뒤 대곡댐 지류와 사연댐을 연결하는 터널형 수로(길이 200m, 직경 10m짜리 2개)를 설치해 물길을 돌리는 방안이다. 사업비는 515억이 예상됐다.

시는 이 방안을 2008년 7월 문화재청 문화재원회에 상정했지만, 암각화 주변 경관훼손과 제방공사시 진동피해 우려 등을 이유로 부결했다. 신 유로변경안은 문화재위원회을 부결이유를 제거하는데 초점을 뒀다. 최우적으로 암각화와 제방 사이를 최대한 멀리했다. 경제성을 따지는 용역이 필요하지만, 위쪽으로 600m 지점에, 아래쪽으로는 310m정도 위치를 유력하게 보고 있다.

제방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반곡천에서 내려오는 물길을 차단하는 제방도 추가설치한다. 이에 따라 제방은 모두 3개가 세워진다. 수로의 노선과 규모도 변경된다. 수로의 시작점은 예전 유료변경안과 같지만 종착점은 다르다. 사연댐 아래쪽으로 제방이 세워짐에 따라 수로의 길이가 늘어나고, 수로의 직경 또한 커져야 한다. 이같은 이유로 사업비는 기존보다 5배 많은 2500억원으로 예상된다.

◇자맥질·문물제 해결, 관광명소화 유리

신 유로변경안은 지난 9월께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울산시에 제안하면서 본격 검토됐다. 최대장점은 사연댐 기능을 극대화하면서 반구대 암각화를 보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신 유로변경안을 적용하면 사연댐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높이 60m인 사연댐(저수용량 1951만t)은 현재 48m 아래의 수위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가 암각화 보전대책으로 임시 수위조절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파로 최대 2300만t 상당의 ‘청정(사연댐물)’ 식수를 공업용수로 내주고, 대신 수질이 낮은 낙동강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암각화 보전측면에서도 울산시는 문화재청이 주장하는 ‘영구 수위조절안’보다 비교우위에 있다고 보고 있다. 영구 수위조절은 사연댐 댐체(여수로)를 인위적으로 일부 잘라내 현재 60m의 수위를 52m로 줄이는게 골자다. 이 경우 평균 9일동안 암각화가 잠긴다. 현재 48m로 수위조절하는 방안은 30~35일 잠긴다. 그러나 신 유로변경안은 아예 잠기지 않는다.

암각화의 관광자원화 측면에서도 신 유로변경안이 유리하다. 시는 제방으로 차단된 암각화 주변에 겹겹히 쌓인 퇴적층을 걷어내 1억년 전의 공공발자국과 웅장한 기암괴석을 외부로 표출해 관광명소로 부각한다는 복안이다.

한편 울산시는 사전검토 절차를 거쳐 정부화 협의해 신 유로변경안 용역을 발주, 문화재위원회에 심의를 받는다는 입장이다. 다만 신 유로변경안이 기존 안에 비해 크게 개선됐지만, 문화재청이 원형보존 기조를 그대로 고수하고 있어 관건이 될 전망이다. 최창환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