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수돗물평가위, 상수원수 확보 위한 심포지엄

민경석 교수 “유해화학물질 사전 예방하는 대책 필요”

안순모 교수 “수문 개방 조작 시스템 구축해 염분 조절”

울산시민의 ‘식수권’과 직결된 낙동강 수질의 안정화를 위해 울산시가 전략 마련에 나섰다. ‘낙동강 과불화화합물 검출 파문’과 ‘낙동강 하굿둑 개방 현실화’ 등 법과 제도적 미흡으로 상시 위협을 받고 있지만, 반구대암각화(국보 285호) 보존책(사연댐 수위조절)의 여파로 청정수원이 부족해 식수의 상당 부분을 낙동강물에 의존해오고 있는 울산입장에서는 식수생존권이 달린 문제이기 때문이다.

울산시수돗물평가위원회는 4일 상수도사업본부 대회의실에서 수돗물평가위원, 관계전문가, 공무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7차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낙동강 물환경 변화와 상수원 다변화를 위한 울산의 대응방안’ 주제로 열리는 심포지엄은 울산시 상수원수 확보에 대한 미래발전 방향을 위해 마련됐다.

주제발표에서 민경석 경북대 교수는 ‘낙동강 수질문제와 상수원 활용방안’을 주제로 다뤘다. 민 교수는 낙동강 수질을 위협하는 최대 요소로 폐수배출업체를 꼽았다. 민 교수에 따르면 낙동강 유역에는 61개의 크고 작은 공단이 위치해 있고, 잊을만 하고 오염사고를 내고 있다. 가장 최근에 난 사고는 ‘낙동강 과불화화합물 검출 파문’(본보 6월25일자 2면 보도)이다. 이밖에도 2009년 다이옥산 가이드라인 농도초과 검출, 2008년 페놀오염사고, 2006년 퍼클로레이드 검출, 2005년 의약품 잔류농도, 2004년 다이옥실 검출 등의 사고가 났다.

민 교수는 유해화학물질을 사전에 예방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 교수는 “대기업이 유해 화학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법과 제도가 없다보니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사후에 대처하는 땜질식 처방만 하는 전문성이 결여된 환경부의 능력 부재가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안순모 부산대학교 교수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환경변화와 울산의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낙동강하굿둑 개방은 울산 식수문제와 직결됐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은 부산시의 역점사업으로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汽水域)을 복원해 낙동강하구의 생태계를 살려 관광자원화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하굿둑 완전 개방시 염분피해가 울산시가 낙동강 물을 끌어 쓰는 원동취수장(27㎞)을 넘어 30㎞ 지점까지 확산된다는 게 문제다.

환경부는 내년 상반기에 낙동강하굿둑의 수문 일부를 시범적으로 개방할 예정이다. 낙동강 원동취수장에서 연평균 1일 최대 100만t 정도 취수해 생활용수 30만t 정도, 공업용수 70만t 정도를 공급하고 있다. 염분이 유입되면 120만 시민의 식수와 울산국가 공업단지의 공업용수에 치명적이다. 울산시는 정부의 정책을 무시할 수 없지만, 염분 확산 범위가 10㎞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안 교수는 “수문의 개방을 조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염분 침투거리의 조절이 가능할 것”이라며 “취수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수생태환경 조성이라는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지정토론에서는 박흥석 수돗물평가위원장을 좌장으로 안수일 울산시의회 환경복지위원, 조경화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이창하 서울대학교 교수, 이용곤 경남발전연구원, 김희철 대구경북연구원이 나와 심도 있는 토론을 펼쳤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