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지도부 선출·구성 앞두고
단일-집단지도체제 공방중
장단점 섞은 대안으로 부상

자유한국당이 연내 전당대회 룰 개정을 포함한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끝내기로 해 당 일각에서 권역별 최고위원을 뽑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단일지도체제 하에서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선출하되 전국을 서울, 경기·강원,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충청, 호남·제주 등 6~7개 권역으로 나눠 최고위원을 별도로 뽑는다는 것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4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정치혁신소위원회를 중심으로 권역별 최고위원 선출 방안이 논의 중”이라며 “차후 당헌·당규개정특위와 비상대책위원회 논의, 의원총회 등을 통해 당내 여론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은 당헌·당규 개정을 앞두고 순수 집단지도체제와 단일지도체제 등 다양한 새 지도부 체제 및 선출방식을 검토 중이다.

순수 집단지도체제의 경우 당대표 1명에게 집중된 권한을 최고위원 등 지도부 전체로 분산시켜 민주적 당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이른바 ‘합의제’를 뜻한다.

지난 10월 비대위 산하 정당개혁소위원회가 진행한 당내외 설문조사에서도 순수 집단지도체제를 복원하자는 의견이 과반이었다. 그러나 순수 집단지도체제가 되면 계파별 자리 나눠먹기식으로 지도부가 구성되는 데 이어 지도부가 계파의 목소리에 휘둘리는 ‘봉숭아 학당’과 같은 촌극을 연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한국당이 지난 2016년 총선 패배 이후 당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한 단일지도체제 역시 뿌리 깊은 계파 간 갈등을 끊어내지 못했다. 오히려 당대표의 리더십을 놓고 갈등은 증폭됐다. 이에 따라 권역별 최고위원 선출이 그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당 지도부의 효율적 운영이라는 단일지도체제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최고위원 선출에서 계파 대리전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한 영남권 의원은 “집단지도체제와 단일지도체제의 장단점을 섞은 현실적대안으로 권역별 최고위원 선출 방안이 등장한 것”이라며 “집단지도체제로 돌아간다면 또다시 계파 간 ‘아바타 정치’를 하는 최고위원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충청권 의원도 “친박(친박근혜)과 비박(비박근혜)이 안 싸울 리 없는 현재의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대여론도 만만치 않아 실제 당헌·당규 개정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권역별로 최고위원을 뽑는다 해도 계파전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