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가 울산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멀리 떨어진 광주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지만 현실적으로 울산의 ‘발등의 불’이나 다름없다. 첫째 ‘발등의 불’은 현대차 노조의 파업이다. 노조는 6일부터 파업을 예고해놓고 있다. 노조측은 “문재인 정부의 반노동자 정책에 반대하는 투쟁의 시작”이라고 했다. 정부가 광주형 일자리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고 보면 이번 파업이 꽤 길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렇지 않아도 조선경기 침체로 인해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는 지역경제에 현대차노조의 파업은 더 세찬 찬바람이 될 것이 뻔하다. 여간 걱정이 아니다.

그보다 더 큰 ‘발등의 불’은 ‘자동차도시 울산’이 허울만 남을 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광주형 일자리’가 자리잡게 되면 상대적으로 현대차 울산공장의 일감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고, 결과적으로 일자리가 줄어들게 된다. 현대차 울산공장의 경쟁력 약화는 곧 울산의 경제력 퇴보를 의미한다. 산업수도라는 명성을 이어가기는커녕 미래가 불투명해질 위기다.

그런데도 울산시와 현대차 울산공장은 마치 ‘남의 일’인양 하고 있는 것만 같아서 답답하기 이를데 없다. 침묵으로 일관하던 송철호 울산시장이 5일 드디어 입을 떼기는 했으나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다. 송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열린 민주노총 울산본부와의 간담회에서 “광주형 일자리에 대해 울산시가 평가하기는 쉽지 않다”면서 “정부가 울산의 미래 자동차산업에 대해서도 의지를 보여줄 때가 됐다”고 덧붙였다.

광주형 일자리는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광주시가 고안해낸 방안이다. 때문에 송 시장의 말대로 울산시가 이렇다 저렇다 평가를 할 수는 없다. 반대입장 표명을 요구하는 노동계나 진보정당과의 입장차이는 차치하더라도 울산경제의 현실과 정부의 추진의지가 대척점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울산시장의 입장 표명은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송 시장이 광주형 일자리의 대가로 정부가 울산에도 뭔가를 주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책임회피 이상의 발언이 되기는 어렵다. 광주시가 광주형 일자리라는 아이디어를 내놓고 정부의 협조를 끌어냈듯이 울산시도 자동차도시로서의 미래를 담보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울산의 미래에 별다른 영향이 없을 거라고 낙관하는 건지, 현실을 너무 안일하게 생각하는 건지 절실함이 엿보이지 않는다. 시장이나 공무원들의 아이디어로 부족하다면 우리나라는 물론 해외의 전문가를 총동원해서라도 대책을 만들어내야 한다. 정부도 광주형 일자리가 울산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란 사실을 분명 모르지 않을 것이다. 우는 아이 젖 준다고 하지 않는가. 하루빨리 구체적 대안을 갖고 정부와 현대차를 설득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