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대차 사태와 관련, 긴급조정권 발동을 검토하고 나서자 노조가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회사측도 사태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노조는 강력 반발과 함께 조만간 대책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모색키로 했고 한다. 사측은 4일 재개될 협상에 혹시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노사 모두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 보다는 "자율협상"을 선호한다는 점에서는 뜻을 같이하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이 점을 강조하고 싶다. 정부가 왜 노사의 자율협상을 바라지 않겠는가. 자율협상이 잘 되지 않고 파업이 장기화 되면 국민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고려해 긴급조정권을 검토하겠다는 것 아닌가. 따라서 현대차 노사가 다음 주 협상을 재개해 자율협상에 순조로운 흐름을 보이지 않는다면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 검토는 산업 안정과 경제 살리기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노조의 장기파업이 현재 회사 안팎으로 어떠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이해될 수 있다.

 현대차 노조는 정부의 긴급조정권 검토 방침에 대해 노동탄압이라며 무조건 반발수위를 높일 것이 아니라 긴급조정권이 발동과 파국적인 상황이 전개되지 않도록 자율협상을 주도적으로 이끌려는 의지를 보여주었으면 한다. 사측도 자율협상으로 타결짓는데 최대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회사가 처한 상황을 설명하고 노조를 이해시키는데 조금이라도 더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새삼 강조하지만, 현대차 노사는 이제 자율적인 해결을 지연시킬 여유가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지금까지의 파업으로 인한 생산차질액이 얼마인가. 국내외 공장들을 합쳐 10만대가 넘고, 손실금액으로는 1조5천억원에 달하고 있다. 보다 심각한 것은 협력업체들이 줄부도 사태에 직면해 있다는 사실이다. 현대차 노조원들이 매년 고임금의 혜택을 누릴 때 협력업체 사원들은 매년 5~10%씩 납품가를 내리며 허리끈을 졸라매야 했다.

 무엇보다 이러한 현실을 직시해줄 것을 현대차 노조에 바란다.‘자율협상중’이라는 말로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 검토’를 상쇄할 수 있을 만큼 협력업체, 지역, 나라의 경제가 순탄하지 않다는 것을 생각했으면 한다. 툭하면 조업중단으로, 수출물량을 대지 못해 대외신인도가 끝없이 추락하는 상황을 심각하게 따져봐야 한다. 사측도 노사 상생의 길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협상테이블을 준비하라. 이것이 노사가 선택할 최선의 길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