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울산시정

신문고·미래비전위 출범

동북아 에너지 메카 육성

안전한 도시 조성에 총력

개방직등 ‘인사불통’ 논란

시립미술관 건립중단 오점

▲ 송철호(왼쪽 세번째) 울산시장이 지난달 한국석유공사 기획예산본부장 등 관계자들과 함께 동해 가스전 플랫폼을 현장 방문해 풍황계측 라이다 운영상황을 확인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민선 출범 23년만에 정권을 교체한 2018년 민선 7기 울산 시정은 ‘시민과 함께 다시 뛰는 울산’을 향해 힘찬 첫 걸음을 내딛은 해로 평가된다. 새로운 울산의 기반을 다지고 전략을 재정비하는데 힘쏟고, 시정의 방점을 소통과 협치, 변화와 혁신에 두고 지역경제 재도약, 일자리 창출, 시민주권 실현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적극 추진했다. 하지만 ‘보은 인사’로 끝난 외부인사 발탁논란과 현안사업에 대한 설익은 행정, 미래 먹거리에 대한 공감대 형성 미흡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겼다.

◇시민주권 실현 최우선 과제

민선 7기는 임기 내 89%(86개 세부사업) 완료를 목표로 7대 분야, 31개 공약(97개 세부사업) 이행 로드맵을 수립했다. 시민주권과 시민행정 실현의 표상으로, 고충민원 및 제도개선 전담 기구인 시민신문고위원회를 출범하고, 행정의 기획단계에서부터 시민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미래비전위원회를 구성했다.

부유식 해상풍력산업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에너지 메카 조성’은 정부 에너지전환 정책 등과 연계돼 민선 7기 신성장산업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스마트 자율운항선박 시운전센터 유치와 함께 미래자동차 종합안전 시험장 구축 및 고안전 부품개발 사업이 2019년 국가예산에 반영되면서 주력산업 고도화의 발판을 다지게 됐다. 블라디보스톡시와 우호협력도시 협약을 체결하고 제3차 한-러 지방협력포럼(2020년)을 유치하는 등 북방경제협력의 추진기반도 조성했다. 일자리 문제 해결에도 적극 나섰다. 시는 당면한 조선산업 고용위기 극복과 혁신적 창업 생태계 조성, 수요 맞춤형 일자리 지원 등을 중점 추진했다. 또 민간 주도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소기업 지원과 소상공인 보호를 확대하는 한편, 현대중공업 고용·경영 위기극복을 위한 노사정협의회를 구성했다.

안전한 도시환경 실현을 위해 재난 컨트롤타워인 스마트시티센터 운영을 시작했고, 국가산단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를 유치하면서 ‘화약고’로 불리는 국가산단 지하배관을 국가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됐다. 복지도시를 위해 울산시민복지기준선 마련에 나섰고, 공립어린이집(20개) 및 공공형어린이집(10개) 등의 복지 안전망을 촘촘히 했다. 태화강 국가정원 지정 추진, 생물다양성센터 개소, 생태관광센터 준공 등 환경도시 이미지 안착과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

◇인사 논란, 오락가락 행정 아쉬움

캠코더(캠프, 코드, 더불어민주당) 인사로 대변되는 민선 7기의 개방직과 산하 공공기관장 인사는 불통 논란까지 빚었다. 시장의 업무 철학에 부응하는 인물을 발탁하는 것은 변화와 혁신의 첫 단추를 꿰는 일이지만, 지방선거 공신과 측근 챙기기 인사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민선 7기 출범 직후 결정한 ‘울산시립미술관 건립중단’도 오점으로 분석된다. 지역 공공건축물 첫 공론화 사례라는 점은 의미있게 평가됐지만, 부지변경이나 설계변경 등 큰 틀에서 변화가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악의 경제위기로 가용재원이 부족한 울산시가 치러야할 대가가 너무 컸다. 건립 중단에 따른 재정 손실은 70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행복케이블카에 대한 오락가락 행정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백지화’ ‘계속추진’ 등 수차례 입장을 바꾸면서 행정의 신뢰도가 추락했다는 지적이다. 민선 7기가 미래 성장산업으로 중점 추진 중인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의 경우 일각에서 실효성과 실현가능성 등을 두고 끊임없이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점도 고민해야 할 대목이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