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대 오른쪽에서 석렬·집석 유구 나와

▲ 반구대 암각화 / 자료사진

국보 제285호 반구대암각화 주변 대곡천 주변에서 통일신라시대 건축물 흔적이 최초로 확인됐다.

반구대암각화 주변에서 바위그림과 각석, 서각, 공룡발자국 등은 많이 나왔으나, 역사시대 건축물 유구(遺構·건물의 자취)가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11월19일부터 반구대암각화 전망대 주변에서 시굴조사를 진행했고, 12월 초 통일신라시대에서 조선시대에 걸쳐 존재한 건축시설 일부를 찾았다고 19일 밝혔다.

해당 유구는 전망대에서 반구대암각화를 바라보고 섰을 때 전망대의 오른쪽 하단부에서 나왔다. 조사단이 약 3곒 깊이로 퇴적층을 걷어내자 유구가 확인된 것이다. 

유구의 면적은 폭 4~5곒, 길이 25곒에 이른다. 2~3줄로 늘어선 통일신라시대 석렬(石列·돌로 만든 경계)과 조선시대 석렬, 돌무더기 흔적인 집석(集石)까지 확인했다. 

퇴적층에서 나온 통일신라 석렬은 지반을 다지기 위해 점토와 목탄, 굵은 모래를 섞어 깔고 그 위에 건물 기초시설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신라 고식(古式) 막새인 육엽(六葉) 연화문 수막새, 통일신라시대 팔엽(八葉) 연화문 수막새, 인화문(印花文) 토기 조각과 고려시대 혹은 조선시대 유물로 짐작되는 분청사기 조각 등도 출토됐다.

남상원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학예연구사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누각이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유구를 뒤덮은 3곒 표토는 사연댐 축조 이후 쌓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구역은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조사가 마무리된 뒤 복토작업까지 마무리 된 상황이다. 관련 지역에 대한 확대조사 계획은 아직 미정이다. 홍영진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