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0년까지 중기 절반 전환
스마트공장 구축 통한 제조혁신

▲ 하인성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지난 12월13일 경상남도 창원에서 개최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경제가 어려운 이유는 전통주력 제조업에서 활력을 잃고 있기 때문이며, 제조업 혁신이 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했다.

울산은 전통적으로 자동차, 조선 등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주력산업을 바탕으로 성장해 왔다. 현재도 지역 내 사업체 종사자 52만3000명 중 33.8%인 17만7000명이 제조업에서 종사하고 있다.

대통령이 언급한 바와 같이 울산도 제조업 활력 저하로 인해 지역 경제가 침체에 접어 들었다. 현장에서도 그간 타 지역에 비해 높은 임금 수준이였으나 내년부터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부담이 증가됨에 따라 스마트공장화를 통한 생산성 증대가 절실하다고 한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생산성 30.4% 증가, 불량률 45.3% 감소, 원가 15.5% 감소, 납기시간 16.4% 감소 등의 효과를 보았으며, 스마트 공장 도입 후 관련 직무 추가로 인해 일자리 증가 기업의 비중이 40.8%에 달한다고 한다.

정부와 현장 모두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한 제조혁신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듯 인천, 경남, 경북에서는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위해 지자체 예산을 배정하고 도정의 핵심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도 민간주도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왔다.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지원하면 정부가 나서서 추가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2018년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 예산은 1330억원이며, 2019년에는 2098억원(333.8%) 증가한 3428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스마트공장 설치 경험이 있는 대기업, 탄탄한 중소 제조기업, 수준 높은 ICT기술력 등은 우리나라가 스마트 공장 확산을 하기 좋은 환경으로 꼽히는 조건들이다.

울산은 스마트 공장 구축을 위한 환경이 나쁘지만은 않다. 지역 내 대학교 부족으로 인한 고급인력 확보 애로 및 ICT인력 부족 등 부족한 점도 있지만,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대기업이 주위에 즐비해 있어, 민간주도의 구축을 적극 지원한다는 정부의 방향에 발 맞춰 나갈 수 있다. 대기업에 납품이 가능한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중소기업들이 포진해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또한 타 지역에 비해 지자체 재정자립도가 높아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위한 예산 배정에도 수월할 수 있다.

지난해까지 정부·민간 공동으로 전국 5003개사에 스마트 공장 구축을 지원했으며, 울산은 121개사(2.3%)가 지원을 받았다. 올해 190개까지 늘어날 예정이다. 많은 이점을 가진 지역의 특성을 아직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수치이다.

정부는 2022년까지 제조 중소기업의 절반인 3만개를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도 정부 지원과 상생형 모델을 지속적으로 늘려가고,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을 대상으로 R&D, 마케팅, 자금 등 우대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제조강국 실현을 위해 적극 나서기로 했다.

제조혁신 없이는 중소기업도 대기업도 살아 남기 힘든 현실이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경쟁력을 함께 높이고, 매출과 고용도 높일 수 있는 스마트공장 구축에 지역 기업인들과 경제 유관단체의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하인성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외부원고는 본보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