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의 마지막 날이다. 기대도 컸고 실망도 컸던 한해가 저물고 있다. 울산의 올 한해는 정치적으로 20여년만의 큰 변화가 몰아친 반면 경제적으로는 유래없이 팍팍했다. 노사를 비롯한 각계 각층이 마음을 모았더라면 새로운 도약을 위한 디딤돌을 마련할 수 있었을 것이란 아쉬움이 많은 한해다.

한해를 마무리짓는 시점에 발표된 통계자료에서는 광공업 생산이 4개월 연속 증가세이지만 아직 희망을 말하기는 이르다. 30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울산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자동차·화학 등 수출부진 여파로 울산의 생산자 제품 재고가 4개월째 쌓였고, 소비는 내수침체로 8개월 연속 감소했다. 울산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도 9개월 연속 부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한국은행 울산본부가 이날 발표한 ‘1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7.4로 전월대비 1.2p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침체된 경제는 인구감소를 낳고 있다. 36개월째 인구 순유출이 계속됐다. 11월까지 1만1700명이나 줄었다. 1인당지역총생산 1위, 수출 1위를 기록하며 한때 120만명을 자랑했던 울산의 인구가 2015년 12월부터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울산 인구는 1962년 특정공업지구 지정 후 급속한 증가세였다. 1967년 공업탑에 50년 후에 인구 50만명의 염원을 담았으나 30년 후인 1997년에 이미 그 2배인 100만명을 달성했다. 증가하기만 하던 인구는 120만명의 문턱에서 무너졌다. 경기회복만이 대책이다.

어려운 경제 속에 울산시민은 6·13지방선거를 통해 변화를 선택했다. 20여년만에 울산시는 물론 5개 구·군 수장을 모두 보수정당에서 진보정당으로 바꾸었다. 지방의회도 진보정당이 다수당이 됐다. 문재인 정부와 코드를 맞춘 지역 정치의 변화가 경제활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깔려 있는 선택이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시민의 여망에 부응해 소통을 시정의 중심에 두겠다면서 변화를 추구했다. 시민신문고위원회를 만들고 화백회의특보도 신설했다. 잠시 여론의 호응을 얻었다. 하지만 막무가내식 선거보은인사가 문제였다. 시민들과의 소통은 오히려 역주행했다. 변화는 진취적이기 보다 혼란스러웠다. 그 때문인지 같은 노선을 걷고 있는 울산시민연대도 ‘실효성 있는 시민참여와 개방형 소통, 혁신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과 메시지 부재’ ‘경제부시장, 복지여성국장 등 시청의 개방직 인사와 울산시 산하 시설장들의 부적절한 인사’를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문제는 시민들의 이같은 인식에 대한 송시장의 공감이다. 문제의 극복은 문제점의 인식에서 비로소 시작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