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미란 울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위원

지난 30일, 여성가족부에서는 2018년 지역성평등지수 측정 결과를 발표하였다. 지역성평등지수는 시·도별 성평등 수준을 측정하고 취약 영역의 성평등을 개선할 목적으로 산정되는 것이며, 양성평등기본법 제19조에 의해 분야와 지표가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2018년 지역성평등지수의 지표는 성평등한 사회참여,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문화라는 3개의 정책영역 아래 8개 분야(경제활동, 의사결정, 교육·직업훈련, 복지, 보건, 안전, 가족, 문화·정보), 23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별 성평등 수준은 상위, 중상위, 중하위, 하위지역의 4단계로 나뉘는데, 위의 결과에 따르면 울산지역은 중하위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결과를 객관적으로만 따져보면, 안타까운 수준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그간의 울산지역 지역성평등지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보면 이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울산지역은 지난 몇 년간 계속 성평등 하위지역에 머물렀으며, 중하위 지역으로 상승한 것은 약 5년만의 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승을 가져온 요인으로는 성평등한 사회참여 영역의 경제활동 분야와 의사결정 분야의 높은 성평등 개선을 들고 있다. 그러나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특히 경제활동 분야의 경우, 전년대비 큰 폭의 상승을 보여 성평등 수준의 상승요인으로 분류되었지만, 실제로는 이와 같이 크게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세부 지표는 여전히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즉, 경제활동 분야는 다시 경제활동참가율 성비, 성별 임금격차, 상용근로자 비율 성비 지표로 나눌 수 있는데, 각 지표의 점수는 전년대비 상당히 상승했으나 타 시·도와 비교할 때 여전히 하위권이며, 지난 5년간 총 16개 시·도 중에서 15~16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그 외에도 울산지역의 성평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세부지표로는 복지 분야의 공적연금가입자 성비, 보건 분야의 건강검진 수검률 성비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세부지표들은 분야별로는 복지나 보건 분야에 속하지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이 역시도 울산여성의 경제활동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알다시피, 공적연금이나 건강검진 등은 안정적인 일자리에서 일하는 울산여성이 늘어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동반상승할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단적으로 말한다면, 그동안 울산지역의 경제활동분야 성평등 수준은 타 시·도에 비해 낮아도 너무 낮았으며,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해도 아직 최하위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풀 죽어 있을 일은 아니다. 매년 하위권을 기록하는 경제활동 분야의 개선이 지역별 성평등 수준의 단계 상승을 이끌었듯이,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는 것을 긍정적으로 해석한다면 울산지역의 성평등 수준은 더 높아질 수 있고, 더 성장할 수 있는 폭이 크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울산지역의 성평등지수는 아직 아쉬운 수준이지만, 지역별 단계에서의 소폭의 상승이나마 반갑게 받아들이고, 2019년에는 울산여성의 경제활동 정책 진단을 시작으로 하여 성평등 도시 울산을 위한 큰 한걸음을 내 딛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배미란 울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위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