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축 연구용역 마무리단계

3월말 입지·설립방안 확정

부산·경북등 치열한 경쟁

용역점수로 정부 지정 유력

市, 우위선점 위해 설득전

▲ 신고리 1호기
울산시가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는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의 입지가 올해 3월말 결정된다. 동남권 지자체의 유치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공모 방식이 아닌 정부가 한곳의 지자체를 지정하는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파악된다. 울산시는 입지선정을 결정하는 ‘원전해체연구소 구축 연구용역’에 당위성이 우위를 점하도록 막판 치밀한 물밑작업을 펼치고 있다.

6일 울산시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발주한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구축을 위한 연구용역’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부는 용역보고서를 근거로 3월말 원전해체연구소 입지선정과 설립방안을 확정해 2020년 착공, 2022년에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원전해체연구소는 2500억원을 들여 3만3000㎡ 부지에 실험실과 분석실을 갖추고 해마다 500억원의 운영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해체기술 실증과 인증 시설, 방폐물 시험시설, 모의 훈련 시설 등이 들어서고 인력은 설립 당시 80명에서 5년 뒤에는 120명으로 늘린다.

용역보고서가 마무리 단계에 돌입하면서 유치경쟁을 펼치던 울산, 부산, 경북은 막판 설득전에 총력을 쏟고 있다.

입지 선정방식은 정부가 지정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과거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한 원전해체연구센터 공모전이 8개 지자체간 과도한 경쟁으로 실패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정부 지정방안은 철저한 객관성이 요구된다. 유치전에 실패한 지자체의 반발을 막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연구용역에서 최고 점수를 받은 입지가 선택될 전망이다. 연구용역에서 점수를 올리는 게 최대 관건인 셈이다.

울산시는 울산(울주 서생면 에너지융합산업단지)이 원전해체연구소의 최적지라는 당위성이 입증된 서울대학교 연구팀의 객관적인 조사결과를 근거로 정부측을 상대로 막판 설득전을 강화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박군철 교수팀은 지난 2017년 12월 ‘원전해체연구소 울산유치 타당성 분석연구’를 발표한 바 있다. 연구팀은 입지 여건, 원전해체 산업·연구·교육 인프라, 지역산업과의 연계성,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도, 기술적 연계성, 정책적 측면, 사회적 측면, 파급효과 등 8개 분야에서 원전해체연구소의 유치 타당성을 분석, 울산이 최적지라는 종합적인 결과를 내놨다.

이와 관련 울산시 관계자는 “원전해체와 관련해 울산이 국내 최고의 산업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며 “원전해체기술 연구를 실증화할 수 있는 산업인프라 여건은 울산이 최고이며, 해외 원전해체시장 진출 시 글로벌기업 컨소시엄 구성측면에서도 월등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울산의 지역특화산업과 원전해체기술의 연관성은 전국 최고 수준”이라며 “울산이 엔지니어링플랜트, 정밀화학, 에너지소재, 환경 등 4개 분야를 갖추고 있고, 원전해체센터 유치의 필수조건인 부지확보, 주민수용성 성숙도를 갖춘 울산이 센터 설립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반면 부산시는 원전해체 대상 원자력발전소가 부산 기장에 있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국내 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2017년 6월 영구중단에 들어간 데 이어 2호기(2023년), 3호기(2025년), 4호기(2026년)를 거쳐 신고리 1호기(2051년), 2호기(2052년) 순으로 폐로에 들어간다.

경북도는 중저준위방폐장과 월성 원전, 한수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 관련 기관이 밀집해 경주가 원전해체연구소의 최적지임을 내세우고 있다.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당시 원전해체센터)는 2014년부터 미래창조과학부가 1473억원 규모로 설립을 추진했으나 2016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경제성(B/C)이 0.26으로 나와 설립 계획이 사실상 백지화됐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고리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원전해체 기술력 확보를 위해 동남권 지역에 관련 연구소를 설립하는 한편 원전해체산업 선도국가가 될 수 있도록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재추진됐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