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울산 하늘은 뿌옇게 흐려졌고,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내렸다. 주의보는 올들어 두번째다. 환경부 에어코리아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기준 울산지역의 초미세먼지(PM-2.5) 평균 농도는 70㎍/㎥이었고 한때 북구 효문동에서는 99㎍/㎥에 이르는 등 ‘매우 나쁨’ 수준까지 올랐다. 앞서 지난 13일에도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됐다. 이 때는 동구 전하동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최고 105㎍/㎥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이날은 울산 뿐 아니라 한반도 전체가 ‘미세먼지 나라’가 된 날이기도 하다. 서울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118㎍/㎥, 2015년 관측 이래 가장 높았다.

미세먼지는 모든 사람의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이고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국정이든 시정이든 미세먼지 대책을 시급하고 중요한 정책의 1순위에 올려놓아야 하는 이유이다. 송철호 울산시장도 이날 주간업무보고회에서 “환경오염 등은 문제의 특성상 미리 막지 못하면 피해가 크게 확산된다”면서 “공단지역 등에 대한 시기적절한 단속과 계도활동을 통해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주의해달라”고 주문했다. 사실 이 정도의 지시로는 미흡하다.

지자체나 정부는 마스크 착용만 강조한다. 대책을 시민들에게 떠넘기는 마스크 착용이 아니라 과학적·체계적 관리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지자체가 관리·해결의 주체라는 인식을 갖고 우선적 역할을 해야만 한다. 가장 먼저 할일은 인력과 모니터링 자료를 구축하는 연구역량 결집이다. 지난해 11월 울산에서 열린 ‘미세먼지 대책 정책토론회’에서 이병규 울산대교수는 “울산은 미세먼지 관련 데이터 등 이용가능한 정보가 거의 없다”고 애로를 호소했다. 또한 공단이 많은 울산은 맞춤형 대책이 절실하다. 대기오염의 주요 배출원인 공장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지역이기 때문이다. 지난 10년간 울산의 환경모니터링을 해오고 있는 UNIST 최성득 교수는 “울산의 미세먼지 속에 독성물질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농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울산시는 미세먼지가 국가적 문제이므로 대책은 정부가 세워야 한다는 무책임을 버려야 한다. 미세먼지의 원인이 중국이라는 인식도 안 될 일이다. 환경정책도 수질오염 중심에서 벗어나 대기오염으로 확대해야 한다. 태화강 물이 맑아져서 좋긴 하지만 강물을 직접 먹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대기오염은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울산이 전국에서 가장 미세먼지가 심각한 도시가 되면 ‘떠나는 도시’가 될 수밖에 없다. 지난해 울산의 미세먼지 나쁨일수는 전국 평균을 조금 웃돈 17일로 나타났다. 태화강에 수천억원을 쏟아부었듯 대기오염 해소에도 예산과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