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김해 신공항 관련 부울경 시도지사, 검증단 검증 결과 보고회에서 김정호·박재호 국회의원, 오거돈 부산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김경수 경남도지사, 민홍철(왼쪽부터) 국회의원이 손을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도현기자

울부경 단체장, 김해신공항 검증결과 공동 입장문
“안전·소음등 최소요건중 어느 하나 충족하지 못해
국토부 수용 불가땐 국무총리가 최종 판정” 요구
울산은 여전히 김해신공항 확장안 고수하지만
부산 가덕도 신공항·경남 고심…시도별 셈법 달라

울산·부산·경남시도지사가 정부의 김해신공항(확장) 추진계획과 관련, 동남권 관문 공항기능이 불가능하다며 정부에 전면 재검토를 요청하는 공동입장문을 내놨다. 다만 김해공항 확장안을 폐기해야 한다는 부산시와는 달리 울산시는 김해공항 확장(김해신공항) 지지원칙을 고수하는 등 시도별 셈법은 여전히 다른 상황이다.

송철호 울산시장과 오거돈 부산시장,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16일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부·울·경 동남권관문공항검증단 검증결과보고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부산·울산·경남 시도지사 공동입장문을 마련해 발표했다.

이들 시도지사는 공동입장문에서 “당초 국토부와 합의한 검증기준에 비춰 국토부의 김해신공항은 안전, 소음, 확장성 등 동남권 관문공항 최소요건 중 어느 것 하나 충족되지 못하는 불가능한 계획”이라며 “그런데도 강행하려는 국토부의 김해신공항 추진계획을 더는 좌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국토부는 부·울·경과 합의한 검증기준을 어겼을 뿐만 아니라 검증과정에서 제출한 부실한 자료를 검증한 결과 안전하지도 않고, 소음은 한층 더 늘어나고 확장성은 전무했다”며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을 백지화하고 정책변경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우리는 부산과 울산, 경남지역 주민들이 간절하게 바라는 바와 같이 소음 없고 무엇보다도 안전한 미국, 유럽 중·장거리 국제노선이 취항할 수 있는 국제 관문공항을 원한다”며 “지난 대선공약인 ‘24시간 안전한 동남권 관문공항’을 제대로 건설해 새로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시대 동북아 물류 허브 역할을 하는 백년의 미래를 준비하고 다시금 지역경제가 살아나 동남권 공동번영의 길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협조해달라”고 촉구했다. 또 “국토부가 전면 재검토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국무총리가 최종 판정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부울경의 공동입장문이 발표되면서 국토부의 진통이 예상된다.

국토부는 부울경이 제기한 의견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김해신공항 계획이 미래 항공수요를 축소했다는 지적에 대해 최근 몇 년간 증가세만 반영해 장기수요를 예측하는 것은 불확실하다고 주장한다.

또 소음피해 확산 주장도 장기수요 예측이 정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추정 정보로만 소음 영향 지역이 늘었다는 의견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박했다. 김해신공항 주변 산으로 인한 안전성 위협 문제 역시 안전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항공학적 검토’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부울경 시도지사는 검증단의 결론을 수용하면서도 지역의 입장에 따라 각 속셈은 다른 것으로 분석된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이미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을 선언한 상태다. 경남은 극도로 신중한 모습이다. 경남 내부적으로 지리산권과 남부해안권, 중부권과 동부권 등 지역에 따라 이해관계가 달라 섣불리 의견을 내니기 어려운 입장이다.

울산시는 김해신공항 기본계획 등에 절차, 안정성, 확장성 등에 문제가 있다면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면서도 김해신공항 확장안에 대한 지지원칙에는 변함이 없다.

한편 송철호 시장은 이날 보고회 모두발언에서 “부·울·경은 상생 발전하는 운명공동체”라며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데 울산도 함께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동남권 신공항은 경남만의 문제가 아닌 대한민국의 문제”라며 “한치의 소홀함이 있으면 안 되기 때문에 검증을 진행했고, 앞으로 동남권 신공항은 국민 열망에 따라 진행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은 800만 부·울·경 주민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안은 소음, 안전, 미래 확장성, 군사공항 문제 등에서 쉬운 게 하나도 없는데 왜 이 좁은 곳을 두고 고민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