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미 김영철 부위원장 막판 조율
‘2월말’시기 고려해 회담장소 가닥
베트남, 미국과 적대청산 상징성

‘세기의 담판’으로 불린 지난해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의 맥을 잇게 될 ‘북미 핵 담판 2.0’의 큰 얼개가 짜인 모양새이다.

특히 ‘2월 말 시간표’가 정해진 가운데 8개 월만의 재회 무대는 베트남으로 사실상 가닥이 잡혀가는 듯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방미했던 ‘복심’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워싱턴 담판에서 막바지 조율이 이뤄진 데 따른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김 부위원장과의 백악관 회동 다음 날인 19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아마도 2월 말 언젠가에 만나기로 합의했다”며 “나라를 골랐지만, 추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 면담의 결과물로 정상회담 계획이 발표될 것이라는 당초 예상이 어긋나면서 일각에서는 ‘로지스틱스’(실행계획) 문제에 대한 북미 간 신경전으로 막판 진통이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으로 로지스틱스의 핵심인 시간과 장소 문제에 대한 조율이 일차적으로 사실상 마무리된 것으로 드러난 셈이다. 이번 김 부위원장 방미의 일차목적인 2차 북미 정상회담 준비였다는 관점에서 보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장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거론하지 않았지만, 북미 양측에서 봤을 때 접근성과 상징성을 동시에 갖춘 베트남으로 낙점될 것이라는 관측이 커지고 있다. 한 외교소식통은 “사실상 베트남으로 굳혀진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로이터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개최국이 어딘지 부연하지 않았지만, 베트남이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검토돼 왔다”고 보도했다.

베트남으로 최종 낙점된다면 구체적인 개최 도시로는 당초 수도인 하노이가 유력하게 거론돼왔지만, 현지 외교가 등에서는 보안과 경호 문제 등을 감안해 다낭 개최설에 점차 무게가 실린다는 전망도 나온다.

만약 설 연휴(2월4~8일) 이전에 개최된다면 촉박한 준비시간 등으로 수도 하노이를 벗어나기 어렵지만, 일정이 2월 말로 잡히면 시간적 여유가 생기면서 다낭에서의 개최 준비도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도 최근 다낭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가 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2차 회담이 베트남으로 최종 확정되면 1차 싱가포르 때에 이어 두 차례 모두 북미 정상회담이 김 위원장의 ‘비행거리’를 고려, 아시아 지역에서 열리게 된다.

베트남은 베트남전 당시 미국의 적대국이었지만 이후 베트남이 미군 유해송환 등을 통해 신뢰를 구축, 미국과 국교를 정상화한 뒤 경제성장을 이룬 역사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70년간의 적대관계를 청산, 새로운 미래를 모색하려는 현 북미 협상 국면에서 상징성이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선(先)비핵화-후(後) 경제번영 지원’을 강조해온 미국은 그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베트남을 북한의 롤모델로 거론하며 ‘베트남의 길’을 가라고 ‘권고’해왔다.

오는 22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스티븐 비건-최선희 라인’의 실무협상 채널에서 남은 조율을 마저한 뒤 발표하지 않겠느냐는 시각도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