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기 도시 2곳 선정 예고
군산·구미형 일자리 모델 유력
울산·부산·거제도 정책 타진

노사민정 합의를 기반으로 한 ‘광주형 일자리’ 대타협 이후 정부의 후속 사업에 대한 각 자치단체의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정부가 최근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이어받을 차기 모델 도시 2곳을 올 상반기에 선정하겠다고 밝히자 일부 광역 및 기초단체의 유치전이 본격화하고 있다. 제2, 제3의 ‘광주형 일자리’로 가장 유력하게 떠오르는 곳은 전북 군산과 경북 구미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최근 “상반기에 잘하면 최소한 한 두 곳은 급물살을 탈 수 있겠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면서 군산과 구미 등을 구체적으로 거명하면서다.

군산을 거점으로 추진되는 ‘전북 군산형 일자리’는 송하진 전북지사가 지난해 말부터 정부에 요구해온 사업이다. 피폐한 군산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광주형 일자리’에 버금가는 특단의 방안과 대책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북도는 일단 폐쇄된 한국GM 군산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활용한 ‘전북 군산형 일자리’ 모델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가동 중단상태인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전북 군산형 일자리’ 모델 형태로 재가동하도록 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최근 10여년 간 지역경제가 크게 위축된 경북 구미시도 어떤 일자리 모델로 전자 수출도시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고심하고 있다.

12일 구미시에 따르면 반값 임금과 임·단협 유예 등을 골자로 한 지역 상생형 일자리 모델이 지역 실정에 맞는지 노동시장과 자본금의 용역 분석을 구상하는 등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구미시가 구상한 일자리 모델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전장부품업 포함)과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업 2개 유형이다. 여기에 5G 기반의 모바일 사업도 추가로 검토하고 있다.

부산시도 정부 방침에 따라 ‘부산형 일자리 사업’을 도입하기로 하고 내부 검토에 들어갔다. 아직 구체적인 업종이나 품목 등은 정하지 않았지만 지역 특색을 살린 특화형 일자리 사업을 모색하고 있다.

울산은 현재 확정된 모델은 없지만, 지역산업 구조 등을 종합해볼 때 수소차 분야가 적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만, 상생형이나 사회 통합형 사업 모델을 위해서는 관련 업체인 현대차 노사가 나서서 논의해야 하는 데 아직 그런 움직임은 없다.

경남 거제시도 광주형 일자리를 모델로 한 정책을 구상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