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물량 적어 집단대출 감소

8년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서

울산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8년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지역 산업경기 부진 여파로 부동산 경기가 동반 침체되면서 신규 아파트 분양 중단 등으로 집단대출이 감소하며 주택담보대출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이다.

24일 한국은행 가계신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8조1615억원으로 전년 보다 1.8% 감소했다. 앞서 지난 2017년에는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8조3129억원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다. 울산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은 지난 2010년(-5.8%) 이후 8년 만이다.

울산지역은 지난해 조선·자동차업 구조조정 등에 따른 지역경기 부진, 정부의 대출 규제와 시중금리 상승 으로 인한 주택구입 부담 증가, 주택 공급과잉, 지역인구 유출 등의 여파로 주택 매매가격이 6.9% 하락했다, 특히 아파트 매매가격의 경우 전년(-2.3%)에 이어 -9.9% 떨어지며 지역 주택가격 하락세를 주도했다.

무엇보다 지역 주택시장이 침체기에 빠지면서 분양시장도 사실상 개점 휴업상태에 놓인 것이 주택담보대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아파트에 입주하려면 중도금과 잔금을 내야 하므로 입주 물량 증가는 주택담보대출 증가로 이어진다.

지난해 주택담보대출은 강원의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졌다. 은행권 주담대 잔액 규모는 최하위권이지만 증가율이 17.1%로 가장 높았다. 전남 광주의 주담대 증가율도 16.4%로 높았다.

울산과 경북(-2.7%), 충남(-1.8%)은 주택담보대출이 감소했다.

지난해 전국의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494조2654억원으로 전년에 견줘 30조569억원(6.5%) 증가했다.

정부가 9·13 부동산 대책,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의 관리지표화 등 각종 대출규제 정책을 내놓았으나 은행권의 주담대 증가세를 확실히 누르지 못했다. 정부가 지난해 10월 말부터 DSR을 관리지표로 삼는다고 하자 이를 피하기 위해 대출을 받으려는 가수요도 증가세에 일조했다. 김창식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