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지진방재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최초다. 근래들어 울산은 수차례 지진 위험에 노출됐다. 지난 2016년 7월5일 오후 8시33분께 울산 동쪽 52㎞ 해상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9월12일 경주에서 발생한 5.8규모의 지진, 2017년 11월15일 포항시 북쪽 9㎞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도 울산에 적잖은 여파를 미쳤다. 건축물이 무너지는 등의 눈에 드러나는 피해는 없었다고 해도 많은 울산시민들이 오랫동안 불안감에 시달려야 했다. 원자력발전소와 석유화학단지가 전국 최고 규모로 밀집돼 있는 울산이기에 그 위기감은 말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다. 울산시가 지진방재종합계획을 서둘러 마련한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울산시가 마련한 방재계획은 교육·훈련 및 안전문화 정착, 정보감시·전달체계 구축 및 조사연구, 내진 성능 확보, 구호·복구체계 구축, 재난대응 조직역량 강화, 지진연계 사회재난대책 마련 등 6개 분야 68개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하지만 울산시의 방재계획으로는 역부족이다. 울산시 차원에서는 지반에 대한 체계적 조사와 연구도 어려울 뿐 아니라 국가공단의 내진 성능 강화 등 재해 최소화를 위한 적극적 예방책 마련에도 손길이 미치기 어렵다. 지진방재종합계획이라고는 하지만 재난 발생 후 대응책에 방점을 둘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일본처럼 지진을 총괄하는 국립지진방재센터 설립이다. 규모 5.0이상의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을 감안하면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지진 연구와 위기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누구에게나 큰 공포를 가져다주는 지진 발생시 신뢰할 수 있는 국가기관의 공식발표와 대응책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지진에 대한 전문가는 분야가 다양한만큼 의견이 분분하다. 지진 현상, 지질, 토목공학, 지반, 건축구조 등 각각의 전문가가 다른 진단을 내놓을 수 있다. 중구난방 의견이 정보 왜곡을 불러 일으키면 불안감이 고조되지 않을 수 없다.

울산에 지진방재센터를 설립하겠다는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울산 공약이다. 경북과 경남·부산을 아우를 수 있는 울산에 지진방재의 허브가 되는 방재센터를 두겠다는 것이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도 울산에 자리하고 있으므로 시너지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송철호 울산시장도 7일 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지진방재기본계획 보고회에서 “문대통령 공약인 지진방재센터를 조속히 설립해 지진방재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진방재센터 설립을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