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영희 울산시의회 환경복지위원장

날씨와 생활은 떼려야 뗄 수 없다. 최근 변화무쌍한 기상현상이 나타나면서 날씨 의존도는 더욱 높아져 간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폭염과 혹한은 물론 태풍과 폭우 등 이상기후가 심화되면서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사회경제 전 분야에 기상정보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최근 태풍과 지진 등의 대형 재난이 잇따르면서 시민들의 우려가 크게 높아졌다. 지난 2016년 10월 태풍 ‘차바’의 내습으로 3명이 숨지고, 612억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2016년 9월 경주와 2017년 11월 포항의 대지진은 우리에게도 큰 충격이었다. 진도 5.8과 5.4는 1978년 기상청 관측 시작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한 가장 강한 지진으로 여진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지난 2월10일에 또 포항 인근 바다에서 규모 4.1의 지진이 관측됐다. 별다른 피해는 없었지만 1년여 만에 또 다시 발생한 강력한 지진에 시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우리는 그동안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라고 믿어 왔으나 이제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님을 인정해야 한다.

울산은 서울보다 1.6배(서울 605㎢, 울산 1061㎢)나 넓은 면적에다 대규모 국가산업단지와 원자력발전소 등 국가기반 산업시설을 갖추고 우리나라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 왔다. 40년 이상 가동해온 노후화된 석유화학시설과 12기의 원전에 둘러싸이다 보니 태풍, 지진 등 자연재해로 인한 화학물질 및 방사능 유출, 해양오염 등 연쇄적 재난사고 위험성이 상존하는 지역적 특성이 있다.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해가 갈수록 대형화하고 일상화되면서 기상예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태풍과 지진, 폭염과 한파, 미세먼지 등의 기상상황이 시민들의 건강한 생활욕구와 대규모 국가산업단지의 산업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실은 신속하고 정확한 기상정보 전달을 요구한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와 동해안 지역의 연이은 지진으로 환경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큰 울산은 그 어느 때보다 기상기후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높아지는 관심과 커지는 욕구에 비해 울산의 기상 조직은 여전히 소외돼 있다. 120만 인구 규모의 광역시 수준에 걸맞지 않는 5명의 인력으로 운영되고 있는 울산기상대의 조직과 인력은 초라하기 그지없다. 울산기상대는 부산지방기상청 산하 최하위 조직으로 사실상 광역시 가운데 유일한 셈이다. 게다가 기상대의 조직은 갈수록 축소되어 기존 10명에서 2016년에는 5명까지 줄였다. 관할지역은 울산과 밀양, 양산시로 기상관측만 담당할 뿐 예·특보 기능은 없다.

특히 지진 등 재난대응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전문 인력 부족으로 지진 대응 역량을 키우기 어려울뿐더러 지역 예보 기술개발이나 방재기상서비스 등 지역 기상서비스 강화에 한계가 뚜렷하다.

그동안 갈증을 느끼고 있던 울산 지역의 기상기후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조직 체계가 필요한 이유다. 울산기상대를 조속히 기상지청으로 승격시켜 전문 인력과 기상 관측 인프라를 확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상지청으로 승격되면 기존 기상대와 달리 과가 신설되고 지역의 예·특보 업무를 수행한다. 관측예보과와 기후서비스과가 설치되어 조직이 세분화되고 전문 인력이 배치됨에 따라 기상서비스 질이 한층 향상될 것이다.

기후변화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서서히 다가온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눈 깜짝할 사이 대형 비극으로 찾아온다. 사전에 분석하고 진단하고 예측해야 한다. 정확하고 빠른 기상정보는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한다. 울산기상대의 기상지청 승격으로 지역의 맞춤형 기상·기후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후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전영희 울산시의회 환경복지위원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