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실업률이 치솟고 대기업들은 채용규모를 줄이고 있다. 이 가운데 최저임금 동결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울산의 경우 1억원대를 넘나드는 연봉을 받는 대기업들이 밀집해 있어 청년 실업의 심각성에 대한 체감률이 낮다. 울산시나 구·군도 중소기업과 청년 실업문제에 대책을 쏟아내고 있으나 실효성이 그에 따르지 못하고 있다. 청년들은 ‘알바 인생’에 쪼들리고 있는데 엉뚱하게 세금을 물 쓰듯 한다는 비판의 소리가 여기저기에서 들린다.

13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2월 울산시 고용동향에 따르면 울산지역 실업자는 3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000명(39.0%)이나 늘어났다. 2월 실업률이 5.3%로 전년 동월 대비 1.6%p 상승한 것이다. 울산의 연간 실업률을 보면 지난 2014년 2.7%에서 2016년 3.8%, 2017년 3.5%까지 치솟았다. 급기야 올해 2월 5.3%까지 도달한 울산지역의 실업률이 앞으로 얼마나 더 올라갈지 여간 걱정이 아니다.

울산의 고용 내용을 보더라도 울산의 취약한 일자리 구조를 한 눈에 읽을 수 있다. 2월 울산시 고용동향에 의하면 울산의 취업자는 56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만명(­3.5%)이나 감소했다. 이에 따라 고용률은 57.8%로 전년 동월 대비 1.7%p 떨어졌다. 특히 남자 고용률은 69.1%로 전년 동월 대비 3.1%p 수직 하강했다. 취업자들을 분석해 보면 대부분이 제조업 종사자들인데, 이 업종에서 1만4000명(­7.1%)이 감소했다. 제조업종 근로자 수가 수직으로 곤두박질쳤다는 것은 지역 경기를 떠받치고 있는 기반산업이 크게 부실해졌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제조업종 종사자들의 이탈은 당장의 경기 침체를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지역 산업 위기의 장기화를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 와중에 대기업들은 절반 이상이 상반기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고, 5곳 중 1곳은 지난해 보다 채용 규모를 줄이거나 신규채용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종업원 수 300명 이상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126개 가운데 채용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기업은 46.0%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해보다 채용 규모를 줄이겠다는 기업은 12.8%였고 1명도 뽑지 않겠다는 기업도 7.1%에 달했다.

실업률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는 갈수록 올라가고 있고, 울산의 기반산업이 무너지는 소리는 더 크게 들리는 요즘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