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63회 신문의 날 축하연에 참석, 언론의 ‘자유’ ‘신뢰’ ‘공정’을 특별히 강조했다. 미국 제3대 대통령인 토마스 제퍼슨은 “나는 신문 없는 정부보다 정부 없는 신문을 택하겠다”고 말했다. 그만큼 신문은 정의수호의 기수였으며, 국민여론을 반영하는 투명한 거울이었다.

그러나 작금의 현실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신문의 위상은 갈수록 추락하고 국민들의 신뢰는 떨어지고 있다. 근대국가의 신문은 언론자유의 상징이었다. 지금 중요한 것은 언론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어떻게 되돌리느냐 하는 것이다.

요즘에는 스마트폰을 통해 ‘가짜뉴스’가 판치고 있다. 스마트폰을 들여다 보면 이 것이 진짜 뉴스인지 누군가 만들어 낸 것인지 알 길이 없다. 국민들의 80% 이상이 스마트폰에 의존하다 보니 알짜배기 정보를 찾는 것은 바다에 떠 다니는 쓰레기 더미에서 구슬을 찾는 격이다.

언론사는 언론사대로 사분오열(四分五裂)이다. 언론사가 나름의 철학과 지론을 제대로 펼친다면 오히려 ‘사분오열’이라는게 제 색깔을 찾는 다양한 여론일 수 있겠으나 작금의 현실을 보면 정론(正論)은 내팽개친 채 저마다 사리와 탐욕에, 편가르기와 진영싸움에, 사상논쟁과 이념대립에 혈안이 돼 있는게 아닌지 우려스럽다.

지방언론도 마찬가지다. 시장은 정권의 눈치를 보아야 하고 구청장·군수는 시장의 눈치를 보아야 한다. 그래야 세수를 확보할 수 있고, 지방자치단체의 살림살이를 조금이라도 넉넉하게 할 수 있다. 그 동안 지방언론은 지역경제 상황이 갈수록 얼어붙는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울산을 비롯해 전국의 지방언론사 모두가 다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문사가 결코 잊어서는 안될 것은 ‘신뢰’와 ‘공정’이라는 최대의 화두다. 4일 문재인 대통령이 든 신문사의 3가지 본질 가운데 ‘신뢰’는 신문의 본령이라고 할만큼 현재 모든 신문사가 당면하고 있는 최대의 현안이다. ‘신뢰’가 없는 신문은 한낱 종잇장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그 신뢰를 쌓기 위해서는 수십년간의 정성들인 공이 필요하다.

토마스 제퍼슨은 “신문 없는 정부보다 정부 없는 신문을 택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울산은 ‘신문도 있고 지방정부도 있는’ 도시여야 한다. 그러자면 신문과 시민이 소통과 신뢰로 굳게 맺어져야 한다. 그리고 신문과 지방정부간의 신뢰도 비판과 수용의 토대 위에서 축적돼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