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조시장 내다보는 원전해체산업
울산을 넘어 한국의 미래 될 수 있게
전문기술 자립화·인력 양성 힘써야

▲ 강길부 국회의원(울산 울주)

세계 최고인 원전 건설과 운영기술에 이어 약 30년후 1천조 시장으로 전망되는 원전해체산업을 선도할 원전해체연구소가 울산에 들어서게 된다. 산업부는 15일 울주군과 기장군의 약 1만1천평 부지에 약 2400억원을 들여 원전해체연구소를 건립하는 MOU를 체결했다. 지난 2017년 6월 고리원전 1호기 영구정지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공언한 이후 1년10개월 만에 울산과 부산의 공동유치 방식으로 결정된 것이다. 원전해체연구소 설립계획은 지난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가 원자력진흥위원회 안건으로 ‘원자력시설해체 핵심 기반기술 개발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시작되었다. 당시 울산을 비롯한 8개 지자체가 유치경쟁을 펼쳤지만, 산업계 참여 미비 등 여러 이유로 백지화되었다.

원전해체산업은 세계적으로 노후 원전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시장에서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2018년 상반기 기준 세계 34개국에 건설된 원전 612기 가운데 가동 중인 것은 447기, 영구정지된 것은 165기이다. 이 중 19기가 해체 완료됐고, 나머지는 해체진행 중이거나 준비 중이다. 한수원과 딜로이트컨설팅이 2015년 발간한 ‘세계 원전해체 전망’ 보고서에 의하면, 1960~80년대에 건설한 원전이 2020년대부터 2040년대 이후까지 모두 399기가 해체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IAEA는 원전해체시장 규모를 2030년 4500억달러(500조원), 2050년 9000억달러(1000조원)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 2030년이면 현재 가동중인 24기 원전 중 12기의 설계수명이 종료돼 해체 수순을 밟아야한다. 국내 원전해체산업 시장규모는 산업부가 추산한 고리1호기 해체비용(6437억원)을 포함해 약 14조원이다.

세계 최고수준의 원전건설과 운영기술을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이지만 원전해체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8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지금까지 해체된 원전 19기 중 미국이 16기를 차지해 선두에 있다. 일본에서도 이바라키현에 위치한 실험용 원자력시설 JPDR을 해체하였고, 4개의 원전 해체가 진행 중이다. 독일은 1990년에 폐쇄된 가압수형 원자로(VVER) 해체경험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경우 2017년 6월19일 고리 1호기가 가동 40년만에 영구정지에 들어가면서 원전해체산업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 원전해체 단계별 필수 58개 상용화 기술 중 13개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정부는 2021년까지 원전해체기술 국내 자립을 목표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이 시발점인 것이다.

울산은 폐로된 고리 1호기를 제외하더라도 인접한 원전이 15기나 되고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인 30km 안에 94%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지만 원전 관련 산업의 수혜가 없다는 지역주민들의 목소리가 높았다. 서생면 일대의 에너지 융합산단과의 시너지 효과도 높아 미래 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한 최적지라는 평가도 받았다. 필자도 국회 산자중기위 소속으로 의정활동을 하면서 국정감사, 업무보고 등 상임위에서 장관 질의, 담당국장과의 면담 등을 통해 원전해체연구소 추진현황을 파악하고 울산유치가 관철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 원전해체연구소 울산·부산 공동유치를 계기로 30년후 약 500조원에 달하는 원전해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울산시민과 관계기관들이 정부, 울산시와 하나가 되어 지속적으로 관심과 지원을 쏟아야 한다. 선진국에 비해 뒤처진 원전해체 기술을 고도화하여 원전해체산업이 울산을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산업으로 자리잡을수 있도록 전문기술 자립화, 전문인력 양성, 기반구축 등에 매진해야 한다. 이제는 유치과정의 노력을 뒤로 하고 세계 최고의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위해 신발끈을 고쳐매야할 때다. 강길부 국회의원(울산 울주)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