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대 수소 공급업체인 울산의 덕양에서 직접 수소를 생산하거나 석유화학 공장에서 만들어진 수소를 받아서 판매한다.

정부가 올 1월
울산에서 ‘수소경제’ 시대를 선언했다.
불황의 긴 터널속에서 벗어나고
미래 신성장동력의
새로운 키워드로
‘수소’를 꼽았고,
또 이 수소경제의 첫 시발점으로
울산을 선택했다.
기존 석탄·석유로 대변됐던 에너지원에
강력한 키워드로
수소가 부상한 것으로,
이를 주력산업인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과 연동해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복안이다.
울산도 세계 최고 수소도시 실현을 위한
도전장을 내밀고
수소산업 선도에 올인했다.
침체와 정체의 늪에 빠져
성장의 한계에 직면해 있는
울산 경제에 수소가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수소경제의 주요 사업 내용과
앞으로의 과제 등을 살펴본다.

세계 최고 수소도시 실현 국내 넘어 ‘글로벌 수소메카’ 도전장
울산 수소경제 선도…연말까지 수소차 1361대 보급률 전국 1위
2030년 50만대 수소차 생산거점 마련·200개이상 전문기업 육성
수소충전소 확충·부품 국산화·타 산업과 연계방안 마련은 과제

◇수소생태계, 자동차·선박·열차에서 전기발전 및 열 생산까지

수소경제는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경제·산업구조를 말한다. 수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저장, 운송하는 시스템에 필요한 모든 분야의 산업과 공급자, 수요자 등 마켓 시장을 새롭게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시말해 수소메카로의 성공여부는 수소를 기존 주력산업인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분야의 경계를 넘어 열차, 드론에다 전기발전 및 열 생산까지 어느정도 산업계로 확장하느냐가 관건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 수소충전소에서 수소전기차 ‘넥쏘’가 충전을 하고 있다.

울산의 수소생산량은 82만t으로 전국의 50%, 수소배관망은 120㎞로 전국(200㎞)의 60%에 달한다. 2013년 2월 세계최초로 수소전기차를 울산에서 양산했고, 올 연말이면 1361대의 수소차가 운행된다. 보급률 전국 1위다. 전국 최초로 수소 시내버스가 노선에 투입된 곳도 울산이다. 수소택시도 2016년 12월부터 도로를 달리고 있다.

앞으로 2030년까지 울산에 50만대 수소차 생산거점이 들어서고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 200개 이상 전문기업 육성, 수소공장(5만㎥/hr) 2곳 증설, 수소공급망 구축, 수소 전문가 양성을 위한 3개 대학 전문학과 설립, 수소산업 글로벌 육성산업이 전개된다. 수소전기차도 6만7000대로 늘린다. 현대차 울산공장의 수소차 생산능력은 10년 뒤 160배(2030년 50만대) 이상 증가한다.

▲ 수소버스.

자동차에 장착되는 수소연료전지가 선박, 산업용 기계, 드론 등에도 확대 적용될 전망이다. 현대중공업 도크에서 초대형 수소연료전지가 장착된 선박이 제작될 수 있고, 또 수소를 연료로한 열차도 달릴 수 있다.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국산화 사업도 추진되는 등 수소 네트워크가 경제활동 전반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에 들어선 세계 최대규모 수소타운 2단계 실행모드 가동해야

이미 6년전인 2013년 5월 울산에 세계 최대규모의 수소타운이 조성됐다.

울주 온산 덕신에 소재한 LS니꼬동제련 사택에 140가구에 연료전지를 보급해 수소로 전기와 난방(온수)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사업은 2013년 4월부터 적용에 들어가 5년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지난해 4월 마무리됐다. 시설은 모두 철거된 상태다. 석유화학단지에서 배관을 통해 각 개별 가구로 전달돼 수소가 난방과 전기로 활용됐다. 기존 에너지 활용과 비교해 수소를 이용한 결과, 가구당 1만원 정도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었다는 게 LS니꼬측의 설명이다.

이 수소타운을 운영한 장단점을 십분 활용해, 새로운 수소 생태계 확대에 접목하는 방안을 구축하는 것도 울산이 수소경제를 선도하는데 중요한 키워드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SK에너지, S-OIL 등 울산에 몰려 있는 석유화학 및 정유업체가 등유와 경유 등을 제품화하는 탈황공정에 꼭 필요한 것이 수소인 만큼 수소기반이 어느 지역보다 잘 갖춰져 있다.

이때문에 수소를 매개체로 한 생산과 소비 네트워크가 잘 갖춰져 있는 만큼 수소 산업 활성화 차원으로 오일허브나 산업단지 등에 수소 비축기지를 구축하는 사업도 실행해야 한다. 이런 산업계의 인프라와 수소타운 운영방안을 접목해 제2, 제3의 울산형 수소타운 조성으로 국내를 넘어 글로벌 수소메카로 도약해 나가야 한다.

 

◇수소 싱크탱크, 관련법령 등 해결과제 산적

울산시가 구상하고 있는 세계최고의 수소 테크노시티 방안은 오는 2030년에 국내 최대규모의 석유화학산업에 버금가는 수소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게 주요 골자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우선 관련법령, 수소산업 싱크탱크 운영, 수소차와 연료전지로 대변되는 수소산업의 확대 방안을 구축하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소경제 활성화와 관련된 법령개정 등이 우선되어야할 과제로 꼽힌다. 실제 지역 국회의원인 자유한국당 소속 이채익 의원과, 정갑윤 의원은 각각 ‘수소 경제활성화법안’과 ‘고압가스 안전 관리법 개정안’을 발의해 놓은 상태다. 이 법안에 국내 수소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수소산업진흥원 유치 방안 등이 포함도 있어 법안 통과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울산은 물론 많은 지자체가 수소산업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는 만큼 현재 턱없이 부족한 수소충전소 등의 시설 확충도 서둘러야 한다. 부유식 해상풍력 등 새로운 사업은 물론 기존 주력산업인 자동차, 조선 등과도 연계해 상호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안마련도 필요하다.

수소산업 현장에서는 행정과 학계, 상공계, 기업, 정치권 등이 참여해 수소경제사회 관련 정책 및 사업 추진을 진두지휘할 전문위원회 구성을 강조한다. 중앙 및 지방정부가 주도해 수소에너지를 만드는데 드는 실제적 비용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체계도 갖춰져야 한다.

한국수소산업협회 관계자는 “수소산업의 근간을 다지기 위해서라도 단순한 시설확충에 그치지 않고 수소충전소의 국산화율 향상에도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울산권역 내 자동차 협력업체 가운데 수소자동차 등 업종전환할 수 있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