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관계자 간담회서 피력하루 최대 1백만t 취수 울산
공업용수등 염분피해 한시름

울산시민의 ‘식수권’과 직결된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검증사업이 염분피해를 우려하는 농민들의 강력한 반대로 일단 연기됐다. 수문개방이 울산시의 주요 취수원 중 하나인 낙동강물의 염분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촉각을 곤두세우던 울산시는 일단 한시름 놓게 됐다.

울산시는 부산시가 지난 20일 오후 9시30분께 예정된 낙동강 하굿둑 시범개방을 잠정 연기했다고 21일 밝혔다.

부산시는 “여러 가지 이유로 낙동강 하굿둑 개방이 연기됐다”며 “주민과 충분히 대화를 거친 뒤 시범개방 일정을 다시 잡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은 부산시의 역점사업으로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汽水域)을 복원해 낙동강하구의 생태계를 살려 관광자원화하겠다는 취지다.

부산시와 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은 낙동강 하굿둑 운영 개선 및 생태 복원 방안 연구 3차 2단계 용역 가운데 하나로 시범개방을 추진해왔다. 관계기관은 시범개방 때 바닷물(해수)이 하굿둑을 지나 낙동강 쪽으로 일부 구간만 유입되도록 해 낙동강 물을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농민의 피해를 막겠다고 말해왔지만, 농민들은 이를 신뢰할 수 없다며 반발해 왔다. 농민들은 지난주 환경부와 부산시 관계자가 참석한 간담회에서 수문을 완전히 연다는 전제를 깔고 있는 시범개방을 반대한다는 의사를 전달한 바 있다.

시범 개방 무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10월에도 계획돼 있었지만 농민들의 반대로 시행하지 못했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반대해온 울산시도 일단 안심하는 분위기다. 하굿둑 완전 개방시 염분피해가 울산시가 낙동강 물을 끌어 쓰는 원동취수장(27㎞)을 넘어 30㎞ 지점까지 확산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시는 낙동강 원동취수장에서 연평균 1일 최대 100만t 정도 취수해 생활용수 30만t정도, 공업용수 70만t 정도를 공급하고 있다. 염분이 유입되면 120만 시민의 식수와 울산국가 공업단지의 공업용수에 치명적이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