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하 파크애비뉴(선암동) 책임지도프로 PGA CLASS A·USGTF 마스터프로
얼마 전 타이거 우즈가 마스터스에서 우승을 하고 난 후 여러 방송에서 인터뷰를 한 내용 중 “많은 부위를 수술과 재활로 치료를 하던 중에도 가장 멀쩡한 두 손이 있었기 때문에 조각을 다시 맞추며 재기할 수 있었다”고 한 부분이 기억에 남는다. 손은 골프에서 클럽을 휘두르는 연결 부위다. 두 팔은 독립적이지만 클럽을 잡음으로 하나가 되어 하나처럼 움직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필요 이상의 힘보다 힘을 빼는 법을 아는 것이 골프의 큰 기술 중 하나다. 손의 움직임은 자유로워야 한다.

많은 코치들은 그립을 잡을 때 “새를 잡듯이 하라” 또는 “최대를 10으로 했을 때 3~4 정도 잡아라” 등의 예를 든다. 그립의 적정 압력을 말하기 전에 우선 그립의 역할이 뭔지 알아야 한다. 그립은 인체의 중심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클럽에 전달하는 통로 구실을 하는데, 백스윙 탑에서 다운스윙으로 이어지는 원심력이 이끄는 대로 움직일 뿐이고 손을 통해 별도의 힘을 더 할 필요가 없다. 많은 골퍼들이 전달 통로의 구실보다 힘을 가해 이 부분에서 실수를 범한다.

손으로 그립에 힘을 가하면 클럽의 헤드 속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즉 물리적으로 말하면 힘이 들어 갈수록 몸이 경직됨으로 관성 모멘트가 증가하며 가속도가 감소해 헤드 스피드가 느려지게 된다. 그래서 골프에서 손에 힘이 들어가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그립(grip)은 영어로 ‘잡다’라는 의미다. 그러나 잡는다기보다는 ‘두 손을 결합한다’는 것이 골프에 더 바른 의미이다. “두 손을 서로 힘을 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안전벨트를 채우듯 그렇게 끼우는 것”이라고 하는 투어 챔피언들의 말을 새길 필요가 있다.

물건을 잡는 데는 힘이 들어가지만 끼우는 데는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 특히 여성 골퍼들은 그립의 악력 조절이 부족해 기술 습득이 느린 경우가 많다. 현장에서 늘 보게 되는데, 처음 배울 때 여성들은 손이 작고 악력이 약하다고 인터 락킹(Interlocking) 그립을 많이 권유받아서 배워 오는 경우다. 대부분 중급자 레벨 정도가 되기까지 그립과 악력의 이해 부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여성들의 인터 락킹 그립 자체가 왼손 엄지는 약한(weak) 그립 위치이고 롱섬(Long Thumb)으로 손에 힘이 들어가게 되는 그립이다. 왼손을 약한 그립으로 잡으면 클럽을 들어 올리기 위해 왼손을 돌려 코킹을 하게 되고 이때 손에 힘이 들어가며 클럽페이스가 돌아가는 패닉 현상이 일어난다.

다운스윙할 때 손에 힘이 들어간 것이 확연히 보이고, 결국 캐스팅되며 임팩트 이후 왼팔의 치킨윙이 된다. 이렇듯 운동 사슬(Kinetic chain)로 이어지는 그 시발점에 그립의 형태와 악력이 잘못돼 있다. 이런 부분을 간파하고 조금만 교정하면 매우 만족하고 실력이 빠르게 향상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필자는 처음 여성 입문자 그립을 심어줄 때 두세 번 체크하고 변경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평생 가져갈 그 고유한 느낌과 감을 처음 3개월은 손의 자유로움과 악력 정도의 배움에 따라 즐길 수 있는 골프가 될지, 아니면 스트레스의 골프가 될지 갈림길이 되기 때문이다. 김영하 파크애비뉴(선암동) 책임지도프로 PGA CLASS A·USGTF 마스터프로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