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성장력 감소로 지속적 인구 유출
노동공급 기반 약화는 울산의 위기 불러
지역의 사활 걸고 기업과 인구 지켜야

▲ 김창식 경제부장

울산의 인구유출이 좀처럼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질 않고 있다. 울산은 지난 2015년부터 인구의 순유출이 시작돼 올들어 현재까지 횟수로 5년째 탈울산 행렬이 계속되고 있다. 인구유출 규모만 2015년 100명, 2016년 7600명, 2017년 1만1900명, 2018년 1만2700명 등 올들어 5월까지 4만5000명을 넘어섰다. 이로 인해 울산의 인구는 2015년 11월말 120만을 넘어선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걸어 이제 115만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자동차·조선 등 주력 제조업의 성장력 감퇴로 인한 일자리 감소와 인구 유출에 저출산 등 자연감소분까지 더해 도시의 잠재 성장력이 크게 약하되고 있다. 지역 인구 감소의 가장 큰 요인은 주력 제조업의 성장력 둔화와 공장자동화 등으로 인한 양질의 일자리 감소다. 실제로 울산의 제조업 취업자 수는 5월말까지 37개월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 일자리 감소로 올해 평균 실업률은 5%를 웃돈다. 현재는 과거의 결과이며 미래의 원인이 된다. 현재 울산의 지속적인 인구감소로 인한 도시의 소멸위기는 과거 시 정부의 산업정책 실패가 초래한 결과물의 하나다.

울산은 10여년전 경주와 포항 등 인근 지방자치단체와의 일자리 싸움인 기업투자 유치 경쟁에서 완패한 쓰라린 아픔을 갖고 있다. 경북도와 경주시, 포항시의 파상적인 기업유치 활동에 수많은 기업들이 울산을 등지고 떠나갔다, 특히 울산과 연접한 경주 외동지역에는 수백여 자동차와 조선 관련 기업들이 울산대비 30~50% 정도에 불과한 저렴한 공장용지, 파격적인 행정지원, 입지보조금과 설비투자보조금 등 인센티브에 매료돼 공장을 이전했다.

당시 경주시는 ‘공무원 1기업 멘토제’ 등을 통해 ‘언제든지 어디든 달려가고, 확실하게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모토를 내걸고 울산 기업을 유인했다. 울산은 인근 지자체의 ‘기업 빼가기’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그렇게 울산을 떠난 자동차 조선 관련 기업만큼 울산은 양질의 일자리와 인구가 사라졌다. 그런데 최근 경주의 ‘기업 빼가기’가 이제는 ‘인구 빼가기’ 형태로 나타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부영주택은 지난해 말부터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일원에 부영 1·2단지 공공임대아파트 3230세대를 공급중이다. 가구당 3명을 계산하더라도 6000명 이상의 인구유인 효과가 있는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지난해 3230세대 분양에 단 21세대만 분양신청해 참패를 당했다. 이 회사는 분양 참패를 만회하기 위해 최근 차량 등을 동원해 울산시민을 상대로 대대적인 아파트 판촉활동에 나서고 있다. 특히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 관련 부품산업단지 배후 주거단지로서의 미래가치가 높다면서 울산 주민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주택 공급업자의 입장에서 판매활동의 일환이지만, 인구 감소에 비상이 걸린 울산의 입장에서 보면 예전의 ‘기업빼가기’와 비슷한 ‘주민 빼가기’나 다름없다. 인구의 양적 증가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주거지를 매개로 한 인구유출은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제조업 성장력 감퇴와 일자리 감소, 청장년층 인구의 지속적인 유출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돼 노동공급 기반이 약화된 울산은 더 이상 기업유출과 인구유출을 방치해서는 안된다. 지역의 사활을 걸고 기업과 인구를 지켜야 한다.

더불어 주력 제조업과 연계한 신성장동력 육성, 미래 성장 전략 산업 발굴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생산성 높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육성과 교육·문화 기반 확충 및 정주여건 개선 등으로 핵심 노동 연령층의 시장 이탈을 방지하고 인구 유입을 촉진시켜 나가야 한다. 울산이 현재 처럼 인구유출을 방치한다면 종국에서 ‘폭망’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김창식 경제부장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