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지난 8일 시청 상황실에서 축제육성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달 착수한 ‘지역축제 육성 발전방안 수립 용역’보고회를 열었다. ‘축제의 통합’ ‘대표축제 선정’ 등은 새삼스러운 안건은 아니다. 수년전부터 수차례 논의돼 왔고, 그 결과로서 구·군 대표축제 1개씩을 선정 시비를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울산시가 또다시 지역 축제의 새판 짜기에 나선 것이다.

울산시는 이날 회의에서 매년 열리는 359개의 크고 작은 문화행사 가운데 매년 135억원이 들어가는 25개(시 9개, 산하기관 1개, 구·군 15개)를 선정해 지역 축제라고 내놓고 구조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지역의 많은 축제 가운데 25개 축제를 어떻게 가려냈는지, 그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8일 위촉된 축제육성위원회 위원들의 전문성도 궁금하다. 이날 위촉된 15명의 축제육성위원회 위원 중 경제부시장과 문화관광체육국장을 빼고 나면 일반 위원은 13명이다. 축제육성위원회는 ‘축제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의한 의결기관으로서 ‘축제의 발굴·육성 및 지원’ ‘유사축제 통합·조정’ ‘평가’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무엇보다 축제육성위원회는 오는 10월 ‘축제육성 발전방안 용역’ 완료보고회에 참석해 최종 결정을 하게 된다. 조정대상에 들어 있는 축제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들까지 위원회에 들어 있어 그들의 결정이 신뢰를 줄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축제의 통·폐합은 지자체간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간단하게 다룰 문제가 아니다. 여기다 용역기관이 ‘울산자동차대축제’같은 신규 축제를 제안하겠다고 하니 걱정이 앞선다. 기존 축제를 통·폐합 하겠다고 축제육성위원회를 열면서 한편으로는 신규 축제를 만들겠다는 이율배반적인 발상이다. 불과 4개월짜리 용역을 통해 대표 축제를 도출하겠다는 울산시의 시도가 과연 가능한 일인지도 의문이다.

‘지역축제 육성 발전방안 용역’은 목표와 비전이 중요하다. 공연히 지역축제 통폐합이라는 안을 테이블에 올려 구·군간 갈등과 분열을 조장할 필요는 없다. 작은 축제들이 많은 것이 문제가 아니라 대표 축제가 없는 것이 문제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지역민들의 다채로운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저예산의 많은 축제(문화행사)들이 일년내내 펼쳐지는 가운데 울산의 자긍심을 높이고 관광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대표축제가 필요한 것이다. 이번 용역의 초점을 전국의 관광객을 불러들일만한 새로운 관광형 축제 발굴에 두어야 하는 이유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