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경기침체의 늪에 빠져 있는 울산시 동구에 대규모 국비 지원 재정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일산동 도시재생뉴딜사업을 비롯해 스마트자율운항선박시운전센터, VR·AR제작지원센터, 일산진마을 새뜰사업 등이 그것이다. 동구청도 일산해수욕장 친수공간과 도로, 주차장도 조성한다. 민간투자사업으로 해상케이블카 설치도 검토되고 있다. 모처럼 동구지역의 경기활성화가 기대되는 개발사업들이 일산동을 중심으로 동시다발적으로 시작된다. 제각각 하나의 사업으로 추진할 것이 아니라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도록 총괄적 관리가 절실해 보인다.

10일 공청회를 시작으로 본격화하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은 제각각인 사업들을 연계해 시너지효과를 내는 중심사업이 될 수 있다. 도시재생뉴딜은 전국의 낙후 지역 500곳에 5년간 50조원을 투입하는 문재인 정부의 주요 국정 과제 중 하나다. 일산동은 우리동네살리기, 주거정비지원형, 일반근린형, 중심시가지형, 경제기반형 등 5가지로 나눠지는 사업들 중 경제기반형이다. 생활편의시설 확충이나 주택정비, 문화서비스 공간 확충 등의 우리동네 살리기 등과는 다른 차원이다. 역세권, 산업단지, 항만 등 대규모 사업지(50만㎡ 산업지역)가 대상이며 복합지식산업센터 건립, 국유지 활용 개발 등으로 진행된다. 동구지역에서 벌어지는 각종 개발사업들과의 연계성을 찾아 효과를 극대화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날 공청회에서 나온 전문가들의 조언에 우선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한삼건 울산대 교수는 “주거환경개선이 기본방향인 새뜰사업과 관광·신산업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뉴딜사업은 상당히 다르다”면서 “사전에 연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우세진 울산과학대 교수는 “경제기반형인 만큼 일산 지역보단 울산 전체를 볼 수 있게 신산업과 연계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각각 다른 부서가 담당하고 있지만 조선업 경기침체 극복이라는 하나의 목적을 갖고 진행되는 사업들인만큼 TF(테스크 포스)팀을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우리 행정은 칸막이가 높다. 다른 부서는 말할 것도 없고 같은 부서내에서도 담당자만 달라도 일과 관련한 의견 교환은 거의 없다. 전혀 다른 일이었던 과학분야도 융합을 추구하는 시대다. 이번 일산동 개발사업에서는 분명 큰 틀에서 내려다보면 예산의 중복투자도 막을 수 있고 시기조정을 통해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행정의 통섭(統攝, consilience)과 융합의 지혜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