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항공기의 추락원인이 기상악화로 인한 항로이탈 등으로 추정되면서 매년 지형조건 열악 등의 원인으로 50여차례씩 "재착륙 시도"가 이뤄지는 울산공항도 항공기 안전사고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상공의 북풍 등으로 울산공단을 선회한 뒤 경주(북쪽)방향으로 착륙해 재난사고 우려를 안고 있는 울산공항은 이·착륙 유도 레이더 등 항행안전시설 현대화 사업조차 부진해 "우려"를 더해 주고 있다.

 15일 부산지방항공청에 따르면 건교부는 울산공항을 이·착륙하는 항공기의 안전확보를 위해 지난 2000년부터 2003년까지 3년간 280여억원을 들여 전방향표지시설(VOR/DME) 이설, 울산공항 레이더(ASR/MSSR) 신설, 저고도돌풍경보장치 신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 이·착륙 항공기에 방위각과 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방향무선표지장치와 거리측정장치 이설 및 개량사업은 현재 51% 공정으로 내년말 정상 가동될 예정이다.

 그러나 220억원이 소요되는 이·착륙 항공기의 수평, 진행방향, 속도 등을 관제사에게 제공하기 위한 최신형 레이더 설치는 입지지역 주민 민원과 보상 등의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또 울산공항에서 상시 발생하는 돌풍 등 급격한 기상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저고도 돌풍경보장치(활주로 전후 5㎞, 높이 30m)도 민원과 비행안전 등의 문제로 철회하는 대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더 시설로 대체할 방침만 세운채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게다가 활주로 주변의 안전지대인 울산공항의 "착륙대"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규정(길이 150m)보다 60~90m가량 부족해 모험속 항공기 이·착륙이 시도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부산지방항공청 관계자는 "착륙대 확장을 위해 타당성 조사를 실시중이며 항해안전 시설도 내년까지 모두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