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병원이 제2기(2015~2017)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됐을 때 울산시민들을 환호했다. 드디어 울산에도 중증 환자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안전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울산대병원은 지난 2018년 제3기 심사에서 탈락했다. 보건복지부의 비합리적인 권역별 선정 방식과 비현실적인 평가기준 때문이었다.

상급종합병원의 권역별 선정 방식은 울산시민들 누가 보아도 비상식적이다. 예를 들어 진주와 울산은 자동차로 3시간이나 걸리는데 인구 100만명의 울산광역시에는 상급종합병원이 하나도 없다. 그러다 보니 울산의 중증 환자들은 상급종합병원을 찾아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면서 서울까지 올라가는 어이없는 일이 나타나고 있다. 나라를 균형 있게 발전시킨다는 것이 국가의 핵심정책인데, 유독 의료정책은 거꾸로 가고 있으니 답답할 뿐이다.

문제는 진료권역을 행정구역 중심으로 배분한 것에서 비롯됐다. 그 동안 정부는 모든 일을 행정 편의주의적인 발상으로 일관했다. 국민과 시민들의 삶은 무시하고 획일적인 기준과 관료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사고로 업무를 재단했다.

복지부는 처음부터 의료 권역을 서울권, 경기 서북권, 경기남부권, 강원권, 충북권, 전북권, 전남권, 경북권, 경남권 등 10개 권역으로 나눴다. 울산은 부산·경남과 함께 경남권역으로 분류돼 있다. 그러다 보니 울산은 경남권역의 한 귀퉁이에 있는 촌 마을 병원으로 치부됐고 100만 시민들은 지방 의료시스템에 불만을 품고 도시를 떠났다.

그러나 울산대병원은 울산지역암센터, 권역심뇌혈관센터, 권역외상센터, 권역응급의료센터,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신생아집중치료센터 등 중증환자의 집중 치료가 가능한 모든 의료 인프라를 갖춘 병원이다. 특히 울산대병원의 의료진은 전국 어느 병원 못지 않은 우수한 인력을 갖추고 있으며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병원평가에서 16개 항목 중 14개에서 1등급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산대병원은 탈락했다.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된 경기(남부), 경기(서북부), 경북, 충남, 충북, 강원 등의 점수는 불과 90점 수준이었지만 울산대병원은 100점 이상을 받았다. 다시 강조하지만 문제는 권역별 선정 방식과 비합리적인 평가 방식이 원인이었다.

문제가 드러났다면 시정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권역별 선정 방식을 바꾸고 울산은 별도의 권역으로 분리하는 것이 정답이다. 복지부가 발주한 용역에서도 지정·평가체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고 하니 이번 기회에 울산시와 정치권이 합심해 울산대병원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강력하게 주장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