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車 등 배터리 수입에 의존

핵심소재·부품 생태계 구축 시급

정부, 실증 테스트베드 확충 방침

일본의 한국 화이트리스트 제외조치로 국내 소재·부품·장비분야의 경쟁력 강화가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전체 자체조달률이 60% 수준에 그쳐 미래차 시대에 주도권 확보를 위한 핵심소재 및 부품 생태계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5일 대외의존형 산업구조 탈피를 위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골자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맞서 100대 핵심 전략품목을 1년~5년내 국내서 공급하는 방안이다. 100대 핵심품목은 업계 의견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금속, 기초화학 등 6대 분야에서 단기(1년) 20개, 중장기(5년) 80개 등으로 선정됐다. 20개 품목에는 반도체와 자동차, 기계·금속 각 5개, 전기·전자 3개, 디스플레이 2개가 들어갔다.

업종별 분석현황에 의하면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소재·부품·장비 자체조달률은 60% 중반에 머물러 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정밀산업 자체조달률은 50% 미만이다.

자동차의 경우, 대표적 장치산업으로 단기간 글로벌 생산대국으로 비약적 성장을 이뤘고, 최근 전기차·수소차·자율차 등 미래 시장으로 전환중인데, 현재 자동차 전체 자체조달률은 66%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수소차 제조·공급 능력은 세계 수준이지만 배터리 소재나 수소차 부품의 핵심소재 등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주요 의존품목은 연로전지용 화학소재와 탄소기반 소재 등이다.

이 때문에 미래차 시대에 주도권 확보를 위해 핵심소재와 부품의 생태계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우선 공급기업의 기술개발이 수요기업의 생산단계로 이어지도록 화학연구원 등 4대 소재연구소를 중심으로 실증·양산 테스트베드를 대폭 확충한다. 수요기업이 보유한 양산 테스트베드가 현재 반도체에서 자율차, 전기차 등으로 개방이 확대되도록 유도한다.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분업적 협력을 위해 경제부총리 산하에 상생협의회를 설치하고, 대기업은 수요 측면에서 중소기업은 생산과 개발 등에서 6대 업종을 중심으로 상생품목을 만들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기업 계약학과를 확대하고 기업 연구인력을 훈련하는 등 특화된 전문인력 공급도 추진한다.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글로벌 전문기업, 강소기업, 스타트업을 각각 100개씩 육성한다. 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