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개교 앞둔 학교들 발만 동동

▲ 자료사진

市 관급공사도 절반 차질
공기연장 따른 비용 발생
부실시공 등 부작용 우려
교육청, 파업장기화 대비
학생수용 근본 대책 모색

울산지역 레미콘 노조의 파업과 사측의 집단휴업 선언 등이 한 달 보름째 이어지면서 각종 공사현장에서 공사차질에 따른 직·간접적인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특히 현 시점에서 일부 신설학교의 내년 초 개교가 물리적으로 어렵게 되는 등 각종 공사 현장의 올스톱 등 공기연장이 우려되고 있지만 노사의 ‘네 탓 공방’속 해결 기미가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5일 울산시 종합건설본부에 따르면 현재 종합건설본부 소관 울산지역 13곳의 관급공사 현장 가운데 레미콘 노조의 파업 등으로 공사가 중단되거나 차질을 빚고 있는 곳은 7곳이다. 이들 중 4곳에는 지난달 말 사급자재를 투입해 일부 공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곳이 ‘상개~매암 혼잡도로 개설공사’와 ‘동천제방겸용도로 개설공사’ 등이다. ‘상개~매암 혼잡도로 개설공사’의 경우 현재 공정률이 76%로 교각 레미콘 미타설로 기 제작된 교량의 거더(Girder, 상부 구조물) 설치가 지연되고 있어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간접비 발생과 공사기간 연장 가능성이 있다. ‘동천제방겸용도로 개설공사’는 후속공정 진행이 어려워 공정률 27%에서 공사가 일시 중지된 상태다.

또 ‘상방지하차도 침수개선사업’(공정률 51%)과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설치사업’(공정률 5%)도 현재 공사가 일시 정지돼 있고, ‘옥동~농소1 도로개설공사’(공정률 72%)의 경우 시공지연에 따른 재해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울산전시컨벤션센터, 제2실내체육관, 반려동물센터, 농수산물도매시장 수산물소매동 건립공사 등도 공사 진행에 차질을 빚으며 파업이 계속되면 공기연장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건 관계자는 “레미콘 공급 중단으로 후속공정에 차질을 빚을뿐 아니라 공기연장에 따른 간접비가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부실시공도 우려된다”며 “우선적으로 토목공사나 관로공사 등 레미콘과 무관한 공정을 최대한 추진하고 있으나 공기연장은 불가피 하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학교 신축 공사현장은 공사일정 연기가 학사일정 차질로 이어져 그 피해가 학생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북구 송정중학교, 제2호계중학교, 강동고등학교, 가칭 제2송정유치원, 남구 두왕초등학교, 울주군 제2언양초등학교, 상북중학교 공사가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이들 학교의 공정률은 대부분 10~20%대에 머물러 있다.

일부 학교는 개교일을 맞추기 위해 내부 공사도 진행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7곳 중 제2송정유치원, 제2언양초, 상북중, 두왕초는 공정률이 10%대에 머물러 내년 2월까지 공사가 마무리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돼 학사일정 차질에 따른 학생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이에 노옥희 교육감이 이례적으로 레미콘 노조와 업체 간 중재에 나서 지난달 29일 일부 학교의 공사가 일시적으로 재개됐으나 이틀 만에 다시 공사가 중단됐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10월께 레미콘 파업에 따른 상황을 보고 근본적인 학생수용 대책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울산신항 남항공사 케이슨 현장에서도 콘크리트 구조물 작업이 중단됐으며, 송정지구 LH 아파트 신축 공사장 등 상당수 건설 현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울산지역 17개 레미콘사업자 일동은 지난 14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조의 운송거부로 공장가동이 중단되고 각종 공사현장의 공정이 지연되는 등 사회·경제적 손실이 늘어나고 있다”며 “성실한 교섭을 통해 사업장이 정상 회복될 수 있도록 적극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다.

반면 레미콘 노조는 앞서 지난 12일 기자회견을 갖고 “레미콘 제조사측의 운송비동결, 집단 계약해지, 조업중단(회사파업)으로 40일 넘게 길거리로 내몰렸다”며 “사측은 대기업의 단가후려치기, 출혈경쟁 강요에 의한 수익감소를 우리에게 전가시키지 말고, 즉각 5000원 인상을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레미콘 운송기사들은 현재 1회전 당 4만5000원인 운송비 단가를 5만원으로 인상해달라고 요구하며 지난 7월1일부터 파업을 이어오고 있다. 하지만 레미콘 제조사들은 건설경기 침체를 이유로 단가 인상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차형석기자·김봉출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