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27일 시청에서 ‘울산형 지진방재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울산형 지진방재종합계획은 울산이 어느 곳보다 지진위험이 높다는 근거에서 나온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울산형 지진방재종합계획은 시민들의 삶에 중요한 계획일뿐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지진방재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울산시민들이 겪은 지진은 다른 도시에 비해 훨씬 많다. 그렇지만 대부분은 지진이 일어났을 때만 공포에 떨다가 시간이 지나면 금세 잊어버린다. 이번 지진방재종합계획이 진정한 삶의 보호막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당국의 철저하고 구체적인 시행을 전제할 필요가 있다. 그러자면 깊이 있는 전략과 가이드라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두루뭉술한 계획으로는 절대 지진이라는 엄청난 재난을 막을 수 없다. 실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피를 하고 재난상황을 수습하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울산시는 교육·훈련 안전문화 조성, 정보감시 전달 및 조사연구, 내진성능 확보, 구호·복구 체계구축, 지진대응조직 역량 강화, 지진연계 복합재난 대책 마련 등 6대 분야를 전략으로 삼았다고 했다. 그리고 세부적인 추진과제 68개를 명시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것은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마음속으로 지진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느냐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8년 기상청에서 본격적으로 지진 관측을 했고, 울산은 1991년부터 관측을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지진은 동남권, 남부내륙과 서해안지역에 걸쳐 L자형으로 발생했다. 울산은 그 가장자리에 위치해 그대로 지진위험에 노출돼 있다. 특히 울산과학기술원에 따르면 울산 전체면적 1061㎢ 중 20㎢가 연약지반이어서 지진피해는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커질 수 있다고 한다. 여기다 남북으로 집적돼 있는 원전, 유류·가스 등 전국에서 가장 많은 액체화물을 처리하고 있는 산업단지, 산업단지 지하에 묻혀 있는 오래된 배관 등은 재난을 엄청나게 키울 수 있는 복병들이다.

울산은 지진 재난에 대비해 그간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사업을 벌여 왔다. 2018년까지 1151개소 중 820(72.2%)곳에 대한 보강사업을 마쳤고, 올해까지는 75.8%를 마칠 계획이다.

지진이 발생하면 시민들의 생명은 물론 그 동안 일궈놓은 산업시설까지 송두리째 잃어버린다. 이번에 울산시가 마련한 ‘울산형 지진방재종합계획’은 대한민국 경제·에너지 안보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산업의 중심지인 울산을 지진재난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울산의 안전은 곧 대한민국의 안전과 직결된다는 것이 이번 울산형 지진방재종합계획의 핵심인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