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케임브리지대학과 공동연구
금속성 이황화나이오븀 개발
기존 촉매比 생산량 100배 이상

▲ Nb(1+X)S2의 결정과 원자구조. b와 c의 적색 직사각형은 NbS2(이황화나이오븀) 층간에 추가적으로 끼어들어간 나이오븀 원자를 보여주고 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총장 정무영) 연구진이 차세대 청정에너지원인 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물질 구조 속에서 남사도는 원자들이 수소 생산량을 높이는 핵심이라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다.

▲ 정후영 UNIST 교수
▲ 양지영 박사

UNIST는 정후영·신현석 교수팀이 영국 캠브리지 대학 매니쉬 초왈라 교수팀과 공동으로 새로운 촉매인 금속성을 갖는 이황화나이오븀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새로운 촉매는 결정구조 내 ‘잉여 원자’가 전기전도성을 바꿔 기존 촉매보다 수소 생산량을 월등히 높인다.

수소는 무한히 재생산이 가능한 차세대 청정에너지원으로 꼽힌다. 하지만 현재 수소 생산에 필요한 촉매는 백금 같은 고가의 금속에 의존하고 있어 대중화에 한계가 있다.

백금을 대신할 촉매 가운데 ‘전이금속 칼코젠화물’은 주요 후보군으로 꼽힌다. 전이금속 칼코젠화물은 주기율표상 4·5·6족에 자리한 전이금속과 황(S), 셀레늄(Se) 같은 칼코겐 원소가 결합한 화합물이다. 이 물질은 주로 반도체 성질을 띠지만 금속 성질을 가지는 가장자리에서는 수소 발생이 가능한 덕분에 금속성 전이금속 칼코젠화물이 차세대 수소 발생 촉매로 각광받는다. 하지만 금속성 전이금속 칼코젠화물은 합성이 까다로워 실험적으로 구현된 적이 없었다.

연구팀은 화학기상증착법(CVD)을 이용해 새로운 구조의 금속성 전이금속 칼코젠화물, 이황화나이오븀(NbS2)을 합성했다. 이 촉매의 전류 밀도는 기존의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젠화물에 비해 100배 이상 높았다. 전류 밀도가 높을수록 동일한 전압에서 생산되는 수소량이 많아지므로, 수소 발생 촉매로서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연구팀은 단면 주사투과전자현미경 기법을 통해, 합성된 촉매의 결정 구조도 분석했다. 이번에 합성한 이황화나이오븀은 한 층이 아니라 여러 층이 쌓인 적층형 구조다. 관측 결과 적층형 이황화나이오븀 층간에는 추가적인 나이오븀 원자가 존재했고 특히 나이오븀이 촉매 표면에 자리할수록 촉매 성능이 우수해졌다.

제1저자로 참여한 UNIST 출신 양지은 박사는 “실제로 수소를 만드는 전해조의 음극에 이황산화나이오븀을 적용하자, 1㎠ 면적에 1시간당 30ℓ의 수소를 방출했다”며 “이 정도는 상용화된 백금 촉매와 비슷한 수준으로 대량으로 수소를 생산하면서 고가의 귀금속 촉매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용화 가능성이 아주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동교신저자로 참여한 정후영 교수는 “과거 문헌으로만 알려지고 증명하지 못했던 잉여 나이오븀을 지닌 이황화나이오븀(Nb1+XS2)의 구조를 주사투과전자현미경으로 최초 확인한 연구이다”며 “다른 적층형 물질에 응용할 경우 새로운 촉매구조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즈’에 8월27일자로 공개됐다. 김봉출기자 kbc78@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