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구조고도화는 호황때도 필요
공단이 산업공유자산 재구축 구심점 돼
울산의 미래 먹거리 발굴 터전 일궈내야

▲ 성인수 울산도시공사 사장·울산대 명예교수

고 박정희 대통령은 1967년 4월1일 수출산업공단 준공식 축사에서 “허허벌판을 불도저로 밀어붙인다고 수출 공장이 되겠냐며 의심한 사람도 많았지만 우리는 결국 해냈다. 정부는 이 단지를 25개 공장이 더 들어설 수 있도록 확장”하겠다고 했다. 한국수출산업공업단지 제1단지인 구로공단의 탄생 비화이다. 그 뒤 반백년 지나 2017년 울산시는 한계에 부닥치지 않았는지? 10년 단위로 조사한다는 2014년 산업입지 수급계획은 2025년까지 54.7㎢~65.0㎢ 추정된다는 예측이었다. 그러나 최근 신청했던 산업단지도 포기한다.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와 온산국가산업단지의 진로를 산업통상자원부나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알려줄 것인가? 기업들이 스스로 나아갈 길을 찾을 것인가? 울산시 산업입지과가 모색할 것인가? 1962년 울산·미포, 온산에서 시작된 국가산업단지는 2022년이면 60주년을 맞는다. 국가산단은 산업별 지원정책 덕에 1960년대 도입기, 70년대 발전기를 맞았다. 80년대 성숙기, 90년대 재도약기를 거쳐, 2000년대 전문화 단계까지 기능별 정책 지원을 받았다.

2010년부터 산업(전환)구조고도화 대책은 마련된 것일까? 제4차산업혁명의 진화는 기존 산업과 산단의 고부가가치화, 체계다양화를 전제로 한다. 그 조짐은 미래형산업단지, 스마트산업단지(2019년), 청년친화형 산업단지(2018년), 디지털산업단지(2016년), 테크노산업단지(2015년), 생태산업단지(2010년), 산업단지클러스터사업(2005년) 등 다양한 명칭에서 감지된다. 울산시는 스마트 화학산단 조성으로 정밀화학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조선, 자동차 분야에서도 그러하다. 중앙정부, 지자체, 산단 간의 협력체계가 필연적이다.

현 한국경제 제조업의 위기는 제조업 체계 결함으로 시작됐다고 한다. 세계교역둔화로 인한 해운업 타격이 조선업 타격으로 이어졌다. 철강 공급과잉이 연쇄적으로 발생했다. GM은 완성차 사업정리로 한국GM 군산철수와 제조업 일자리 감소로 나타났다. 4차산업혁명 시기에 한국의 개념설계 역량부족과 지식의 부족은 AI형 자동화에 취약하다고 한다. 한국형 러스트벨트에서 벗어나려면, ‘산업단지’가 산업공유자산 재구축의 중심역할을 하는 열린 공단이 돼야 할 것이다.

산업단지 구조고도화는 기업 활황이 유지될 때도 필요하다. 공단 노후화에 대한 요청이 공단 구조고도화 뿐 아니라, 기업 스스로의 혁신과, 시설 해체 후 대체, 폐기나 수출로 설비이전과 구조고도화 등 공단 신설뿐만 아니라, 공단 재생도 절실하다. 공단 내 기간도로 확충과 배후시설, 산업안전을 위한 지하매설물 자료 공유와 효과적 대처가 필요하다. 도로에 가득한 공단 내 근로자용 주차시설 부족도 해결해야 한다.

156차 울산경제포럼에서 송철호 시장의 ‘울산 7 BRIDGES 전략’을 들은 뒤 ‘산업단지의 날’ 기념행사에 참석하러 서울에 갔다. 울산시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수소경제, 동북아 오일·가스허브, 원전해체산업, 태화강 국가정원, 울산 첫 국립병원, 외곽순환도로와 도시철도망 등 7개 성장다리(7 BRIDGES)를 중심으로 울산의 미래 먹거리 발굴 추진기반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혁신으로 지역상생’ 2019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가 9월26일~27일 순천만 생태문화교육원에서 열린다. ‘지역이 주도하는 혁신, 실현되는 균형발전’은 현재진행형이다. 균형발전 정책박람회 주제인 ‘포용, 혁신, 분권’으로 추구, 달성할 울산의 미래 가치는 무엇일까? 미래 백년을 좌우할 울산국가산업단지의 청사진을 꿈꾸자. 성인수 울산도시공사 사장·울산대 명예교수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