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사고에 육해상 동시 대응

방제분야에 첨단 신기술 적용

사고예방 시스템 구축 등 제언

▲ 울산항만공사 주최로 25일 북구 울산JW컨벤션센터에서 ‘제3회 울산항 항만안전 국제컨퍼런스’가 열렸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선진화된 국내외 항만 안전관리’란 주제로 다양한 항만안전 방안이 제시됐다.
전국 최대 위험물 취급항만인 울산항이 앞으로 동북아 오일허브 개발을 비롯해 선박대형화, 해양환경 민감해역 범위 확대 등으로 사고위험이 심화될 우려가 높은 만큼 IMO 2020 등 선박환경 정책 변화는 물론 화학물질 사고시 육해상 동시대응 방안을 구축하고 항만 위험요인 개선 시스템을 갖춰 항만안전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울산항만공사 주최로 25일 북구 울산JW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3회 울산항 항만안전 국제컨퍼런스’에서 ‘선진화된 국내외 항만 안전관리’란 주제로 다양한 항만안전 방안이 제시됐다.

우선 ‘해양안전 및 선박환경정책 방향’에 대해 기조강연에 나선 해양수산부 서진희 해사산업기술과장은 위험물컨테이너 안전관리 체계와 미신고 위험물컨테이너 안전관리 방안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IMO 2020에 대비해 배출규제해역으로 지정된 울산항에 일반해역보다 강화된 선박연료유 황함유량 기준이 단계적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산지방해양안전심판원 정철락 조사관은 2014년 울산항에서 발생한 혼산(2개의 다른 산을 혼합한 것) 선적 중 폭발사고를 예시로 들며, “혼산을 운반하는 탱커선박은 화물적재 전 화물탱크 내의 누출검사를 더욱 철저히 시행하고 그 과정을 정확히 기록 보전해야 한다”며 “또한 선사측에서는 숙련된 선원을 배승해야 할 뿐 아니라 화물창 내 안전 점검을 위한 시간이 확보되도록 선박운항 일정 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항만연수원 부산연수원 오현수 교수는 ‘울산항의 안전한 하역작업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안전한 항만하역 작업환경을 위해서는 항만 내 발생한 산업재해 자료를 모두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산업재해 보고 시스템과 위험요인 개선 시스템을 통합한 울산항 사고예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안전문화 향상에 기여하는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오 교수는 울산항 사고예방 시스템은 항만 내 출입자들이 스마트폰으로도 간단하게 위험요인 신고와 산업재해 보고가 가능하도록 사용하기 쉽고 단순한 환경으로 구축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향후 동북아 오일허브 사업이 추진되는 데다 친환경 선박도입, 선박의 대형화 등으로 사고시 기름과 화학물질이 동시에 유출되는 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는 만큼 빅데이터, 드론 등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첨단기술의 동향을 파악해 현장방제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활용기술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울산항 항만안전 국제컨퍼런스는 국내유일 항만안전 컨퍼런스며,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국제적인 위험물 안전관리 전문단체인 OCMIF와 CDI 관계자를 초청해 선진화된 안전관리시스템 공유 및 글로벌 항만안전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울산항만공사 고상환 사장은 “울산항은 전체 화물의 80%인 1억6000만t 정도가 원유, 석유정제품 등 액체화물로, 타 항만에 비해 위험화물의 비중이 월등히 높기 때문에 아전에 대한 각별한 의식과 지식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안전한 울산항 조성을 위해 다양한 안전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