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창환 사회부 기자

자그마치 3만명이 넘는다. 4년도 채 안돼 울산을 떠난 사람들의 수다. 웬만한 소규모 기초자치단체의 인구와 맞먹는다. 광역시 승격 이후 울산에서 처음 인구감소가 시작된 것은 지난 2015년 12월부터다. 주민등록 기준 울산의 총인구는 2015년 11월말 120만640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지금까지 탈울산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단 한차례의 반등도 없었다. 지난 8월말 기준 울산의 총인구는 117만220명이다.

그동안의 추세라면 이달 117만명 붕괴는 기정사실로 다가온다. 인구감소가 울산사회에 일으키는 악영향은 적지 않다. 주택거래량 감소, 소매점 매출액 감소, 지방세원 감소 등의 부작용은 기본이다. 광역시라는 도시의 위상 추락은 물론, 인구가 경쟁력인 사회에서 울산의 미래 또한 어둡게 한다. 그동안 울산시는 다양한 인구증가 대책을 내놓았지만, 허사였다.

인구감소 원인은 두말할 것도 없이 일자리 때문이다. 조선업 등 주력산업의 장기침체의 여파로 일자리가 없어진 것이다. 인구의 반등을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 마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민선 7기 울산시는 최근 울산형 일자리를 야심차게 내놨다. 기업투자를 기반으로 만든 투자촉진형 일자리 형태다. 광주형 일자리와 비교된다. 광주형 일자리는 근로자가 반값 수준의 연봉을 받는 대신 정부·지자체가 주거, 복지, 교육, 보육시설 등 다양한 복리후생 지원을 통해 고용안정에 도움을 주는 사회통합형 일자리를 의미한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지난 7월말 현대모비스 친환경차(전기차) 핵심부품 전용공장 유치 성과를 발표하며 울산형 일자리의 첫걸음을 알렸다. 이달 10일에는 울산형 일자리 창출 로드맵을 공개하기도 했다. 10개 기업에서 총 2조1143억원 규모의 신규투자를 받아 울산에 새로운 일자리 4600개를 만들겠다는 게 요지다. 로드맵을 면밀히 살펴보면, 투자유치가 사실상 확정된 사업들이 대부분으로 실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송 시장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중소·중견·대기업을 끊임없이 유치해 울산형 일자리를 더욱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인구감소의 해법으로서 뿐만 아니라 미래먹거리 산업 육성과 주력산업 고도화, 고부가가치화를 끌어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울산형 일자리에 거는 기대가 크다. 최창환 사회부 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