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형 울산시의회 의원

지난 2016년과 2017년 경주(규모 5.8)와 포항(규모 5.4)에서 발생한 지진은 우리나라가 1978년 지진관측을 시작한 이후 가장 큰 규모이며 지금도 규모 2.0~4.0의 지진이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다. 지진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자연현상으로, 이른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는 우리가 살고 있는 땅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바다위에 빙산이 떠다니듯이, 지구내부의 맨틀 위를 지각판이 떠다니며 판끼리 서로 부딪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현상이다.

울산은 1960년대 ‘공업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대한민국 ‘산업의 수도’로 자리매김해 왔으며 에너지, 산업, 도시 인프라 시설이 집약돼 있는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피해가 가중되고 화재, 폭발, 유해화학물질유출 등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재난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고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는 일이다. 이는 하루아침에 이뤄질 수 없다. 많은 재정과 인원을 필요로 하며,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인 지진방재 연구와 인프라 투자가 이뤄져야 가능하다.

그러나 이보다 선행돼야 할 일은 시민들이 지진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버리고 이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는 것이다. 신이 아니고서야 자연현상을 완벽히 예측할 수는 없다. 특히 지진은 현존 과학기술로는 예측이 불가능하며 재난대응에는 수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지진 피해에 대한 과소 혹은 과대한 재난대응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지진피해 발생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필자 역시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며 지진관련 조례 제정 등 적극적인 의정활동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속한 정보의 전달과 정확한 지진계측 자료뿐만 아니라 그간의 재난대응 활동기록이 충분히 축적돼야 한다. 지진방재 선진국에 비하면 우리나라의 지진관측 기간이나 기술개발 및 품질관리를 위한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공감대를 이끌어내기 위한 시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 그동안 우리는 경제건설을 위한 사회기반시설과 산업생산에 집중하느라 재난예방에 대한 투자와 인식이 부족했다. 최근까지도 지진방재를 위한 시설과 자원은 그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경주와 포항지진이 발생하기 전까지 시의 정책과 시민들의 관심이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것도 사실이었다. 언론 또한 경주·포항지진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지진방재 인프라 가치에 대한 보도가 소홀했다. 이 모든 것이 지진 안전 불감증이 만연한 흔적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지진발생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졌다. 시민들은 지진행동요령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주변의 지진대피장소에 대해 궁금해 한다. 정부에서도 내진보강사업, 지진대피훈련, 단층조사 등 지진 안전을 위한 여러 활동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러나 아직 많이 부족하다. 재난관리의 주체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이지만 모든 시민이 참여해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관계 기관 및 부서간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재난관리계획, 재난관리조직 구성, 방재정책, 구조구급대책, 교육, 홍보 등이 이루어져 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생명·재산을 보호해야 한다. 또한 방재인프라 구축, 피해경감방안, 재난관리 향상을 위한 정책개발 등 연구자들도 몫을 다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난에 대처하는 시민의 안전의식이다. 특히 지진의 위험성과 그 방재의식을 항상 가져야 한다. 다소 불편하더라도 지진과 관련한 훈련과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재난에 대처하는 방법을 숙지하고 재난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자신의 신체와 재산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스스로 해야 한다. 지금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진대피장소가 어디인지 미리 알아두고 지진시 시민행동요령에 따라 대피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소중한 생명과 재산이 지진으로 인해 한순간에 사리질 수 있다. 더 이상 지진과 이에 대한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면 안될 것이다. 인간이 지진을 막을 수는 없지만, 주어진 환경 속에서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바로지금, 그 첫 발걸음부터 함께 시작하자. 김미형 울산시의회 의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