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실택시의 운영을 둘러싸고 울산시와 북구청이 최근 ‘업무 떠넘기기’ 양상을 보였다. 울산시는 지난 8월 마실택시 관련 보조금 5000만원을 내려보내 줄테니 북구청이 이 업무를 맡아달라고 공문을 보냈다. 그러나 북구청은 ‘시내버스 이용불편지역 지원사업’은 울산시 업무라면서 거절했다.

마실택시는 교통약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따라서 이 업무는 당연히 지역 사정을 잘 아는 구·군청이 하는 것이 백번 맞다. 예산은 광역시가 내려주고 상세한 업무는 일선 구·군청이 맡아하는 시스템은 다른 도시에서도 흔한 일이다.

마실택시는 주민이 1000원만 내면 나머지 요금은 광역지자체가 부담하는 사업이다. 울주군은 지난 2015년 18개 마을에 마실택시를 처음 도입했다. 지난 7월부터는 24개 마을에 마실버스도 운행하고 있다. 울산 북구 3개 마을에서도 지난 4월부터 마실택시를 운행하고 있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이 오지여서 택시도 잘 오지 않는다. 혹 병원에 갈 일이 있어도 택시비가 너무 많이 나와 자주 나오기도 힘든 상태다.

울산 북구와 울주군은 면적이 넓고 소단위 마을이 흩어져 있어 시내버스를 운영하기 힘든 곳들이 많다. 그나마 울주군 범서읍의 연동마을, 언양읍의 옹태마을·한실마을, 두서면의 수정마을·내와마을·선필마을, 삼동면의 둔기마을·대암마을, 온산읍 산성마을, 북구의 어전마을·상대안부락·속심이마을 등에는 마실택시나 마실버스들이 들어온다. 그 외 북구와 울주군 지역에는 버스가 아예 안 들어오는 오지마을이 적지 않다. 노선버스가 들어오더라도 하루에 서너 차례만 운행하는 경우도 많다.

일선 기초자치단체의 가장 중요한 일은 주민들의 생활불편을 해소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마실택시와 마실버스 사업은 울산시 보다 일선 구·군청이 더 적극적으로 펼쳐야 하는 사업이다. 어느 지역에 어떤 주민들이 생활에 불편을 느끼고 있는지 속속들이 파악하고 주민들과 소통해야 하는 것이 바로 구청의 업무인 것이다. 특히 울산은 다른 도시와는 달리 도농통합도시이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소외된 주민들이 많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북구청은 최근 울산시에 “인력이 부족해 업무를 맡을 수 없다”고 통보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마실택시와 마실버스가 더 많은 울주군은 왜 이런 일을 마다하지 않고 하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다행히 북구청과 울산시가 원만하게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하니 안심이지만 행여 북구청이 이 일을 못하겠다고 한다면 주민들의 질책은 구청에 쏠릴 수밖에 없을 것임을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