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이탈은 출산인구 감소 초래
경제인구가 줄어 도시 활력도 위축
지역대학 더 늘려 청년유출 막아야

▲ 이재명 논설위원

교육재단을 갖고 있는 부산지역 건설사가 울산에 대학을 설립할 뜻을 내비쳤다. 울산으로서는 이보다 더 반가운 소식이 없다. 그러나 대학을 하나 설립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우선 국가 정책상 대학 구조개혁이 거세게 이뤄지고 있는데다 전국적으로 학령인구가 줄어들면서 고교 졸업생의 수가 전체 대입정원에 미달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남의 집 불구경하듯 뒷짐만 지고 있을 수만은 없는 형편이다. 왜냐하면 울산시민들이 바로 피해 당사자이기 때문이다. 울산시민들은 그 동안 광역시의 막내로 태어나 척박한 도시에 광역시라는 간판을 세우고 하나 하나 광역시의 면모를 갖춰 나갔다. 울산시민들은 그 와중에 종합대학교 신설을 숙원했고, 그나마 지난 2009년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이라는 대학을 선물받았다. 유니스트는 울산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지만 울산지역 고등학생들의 진학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했다.

지금 울산의 당면 과제는 또 하나의 대학을 설립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대학설립의 이면에는 계속 빠져가는 청년인구를 어떻게 막느냐 하는 근본적인 문제인식이 있다.

지난 2015년 울산인구는 120만명이었고, 지금은 115만명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따르면 2030년 울산인구는 약 98만명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불과 12년 후면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 때의 100만명이 붕괴되는 것이다. 울산공업센터 지정 4년 후인 1966년 울산의 40대 이하 인구비율은 87%였다. 그러나 지금 40대 이하의 인구비율은 65%까지 내려가 있다. 아이는 낳지 않고 어른들은 빠르게 늙어간다는 뜻이다. 현대자동차나 현대중공업 근로자들을 보면 울산의 노령화가 어느정도까지 진행됐는지 알 수 있다.

이와달리 울산과 인접해 있는 기장군과 양산시는 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도시다. 기장군은 지난 2007년 8만명에서 2019년 현재 16만5000명에 이르고 있다. 불과 10년만에 인구가 두배 늘어난 것이다. 양산도 2007년 23만명에서 2019년 현재 35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양산은 울주군 면적의 약 65%에 불과하지만 2030년 목표 인구는 50만명이다.

울산 인구가 대거 빠져나가는 것도 문제이지만 청년인구가 이탈한다는 것은 치명적인 것이다. 청년이 이탈한다는 것은 출산인구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이며 경제인구가 줄어든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여기다 청년인구의 이탈은 도시 인구의 연령을 더 높여 도시의 활력을 급격히 위축시킨다.

최근 울산시의회에서도 청년인구의 감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동남지방통계청이 조사한 2018년 부산·울산·경남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울산의 인구 순유출 중 20~30대 순유출 비율이 54%에 이르렀다. 이는 울산을 떠나는 인구 가운데 절반 이상이 젊은 청년의 인구라는 것을 의미한다.

울산교육청에 의하면 2019년 울산지역 고교 졸업자의 울산이탈률은 65.6%에 이르렀다. 울산내 진학 학생수는 3889명인데 반해 타지역 진학 학생수는 7416명이나 됐다는 것이다. 10명 중에 7명은 울산은 떠난다는 말이다. 이들이 진학하는 대학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부산과 양산지역 위치해 있다. 이들이 가장 많이 들어가는 대학을 순위로 따져보면 동의과학대, 경남정보대, 동의대, 부산과학기술대, 동아대, 영산대, 대구대, 인제대, 대구가톨릭대 등을 들 수 있다.

울산이 경쟁력 있는 도시로 살아 남으려면 가장 시급한 일이 바로 청년인구의 이탈을 막는 것이다. 그 방법은 단 하나, 바로 대학을 설립하거나 유치하는 것밖에 없다. 대학 구조조정이 막을 수 없는 정부정책이라면 공동캠퍼스나 학과 중심의 이전 등 다른 다양한 방법을 찾아볼 수도 있다. 학부모나 학생이나 모두가 울산을 떠나지 않기를 바란다면, 이제 겨우 면모를 갖춘 울산의 붕괴를 막으려면 모든 노력을 기울여서라도 대학을 유치해야 한다. 이재명 논설위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