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말 현재 울산인구가 116만9777명이다. 최고점을 찍었던 2015년 11월말 120만640명에 비하면 3만863명이 줄었다. 100만명 이상의 인구를 기록하면서 광역시로 승격했던 울산시는 18년만에 인구가 20만명이나 늘어나 ‘120만명 도시’라고 대대적으로 홍보를 했었다. 그런데 지난 4년간 한번의 반등도 없이 계속적으로 감소, 드디어 117만명선도 무너졌다. 6년7개월 전인 2013년 3월(116만9850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는 울산의 인구감소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 울산의 인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따르면 2040년이면 울산의 인구는 85만9000명까지 줄어든다. 산업도시인 울산의 인구는 경제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62년 특정공업지구 지정 이후 일자리를 따라 인구가 대거 유입된 반면 경기침체가 본격화한 4년여 전부터 울산을 떠나고 있는 것이다. 울산의 인구증감세는 일자리와 직결돼 있다.

울산시도 올 한해 일자리예산으로 180억원을 투입하는 등 일자리 창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상으로는 지난 9월 고용률이 21개월만에 최고치인 59.9%를 기록하고 실업률도 지난달에 비해 1.4%P 줄어든 3.6%로 나타나 마치 회복세인 것처럼 보이지만 구체적으로 일자리를 들여다보면 결코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라는 것을 알기는 어렵지 않다. 도소매·음식·숙박업과 공공서비스업에서 고용률이 증가했으나 울산의 주력산업인 제조업과 건설업은 여전히 감소세다. 남성고용률은 감소세인 반면 여성고용률은 높아졌다. 여성들이 대거 서비스업에 나선 것으로, 오히려 경기침체를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울산의 인구증가가 기업살리기에 달렸건만 앞장서야 할 공공기관들이 뒷짐을 지고 있는 것도 답답하다. 울산에 본사를 두고 있던 조달우수제품지정사인 A사는 울산에서 시장을 확보하지 못해 서울로 이전했다. 또 창호전문 B사와 LED 조명전문업체 C사도 판로를 확보하지 못해 양산과 경주로 이전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지자체와 교육청 등 공공기관이 이들 기업의 제품을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유다. 이들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지역업체 계약비율이 10%에도 못미친다. 동일한 제품을 판매하는 타지역 경쟁사의 경우 해당 지자체에서 최대 92%까지 계약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성장정체에 직면한 울산 경제의 미래는 강소기업 육성에 달렸다. 중소기업들이 떠나가는 도시라면, 인구증가는 요원하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