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산업 테스트베드 역할 어필해야”
주제 : 울산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기존 주력산업 경쟁력 높고 혁신성장 기반 이미 갖춰져

▲ 본보와 울산테크노파크가 공동주관한 ‘울산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전문가 좌담회가 13일 울산테크노파크 원장실에서 열렸다. 김도현기자 gulbee09@ksilbo.co.kr

수소·에너지·원전해체 등 울산 신성장동력 육성 메카로
지정땐 외자유치와 생산·고용 창출, 지역경제 회복 기대

울산시가 지난 9월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한 가운데 기존 지역 3대 주력산업의 고도화와 함께 울산경제자유구역에 특화된 에너지산업 육성방안 강화는 물론, 대기업과 외투기업 유치 촉진을 위한 투트랙 전략으로 성공 가능성을 높여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 주요 산업의 경쟁력이 높은데다 외자유치, 혁신성장 기반이 잘 갖춰져 있는 만큼 정부를 상대로 울산경제자유구역에서의 혁신산업 테스트베드(새로운 기술·제품·서비스의 성능 및 효과를 시험할 수 있는 환경이나 시스템) 역할을 적극 어필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경상일보와 울산테크노파크(울산TP)는 13일 울산TP에서 ‘울산산업의 현주소와 미래 대진단’ 8번째 주제인 ‘울산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전문가 좌담회를 개최했다.

좌담회는 차동형 울산TP 원장의 사회로, 박동규 한양대학교 교수, 윤영한 충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연옥 울산시 투자교류과장, 이경우 울산발전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장, 우항수 울산테크노파크 단장이 참석했다.

토론자들은 제2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의 달라진 정책과 운영방안, 울산시의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배경과 필요성, 다른 도시와 차별화된 울산시의 주요 추진전략, 기대효과 등을 논의했다. 우선 인천, 부산·김해 경제자유구역의 경우 해외특구와 경쟁을 통한 글로벌 거점으로, 그 외 구역은 지역성장의 구심점으로 특화하는 국내와 국외거점 육성방안이 제시됐다.

박동규 한양대 교수는 “외자유치는 기본이고 혁신성장도 중요하며 플랫폼 경제까지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며 “지자체와 경제자유구역청과의 협력, 협조관계 또한 중요하다. 무엇보다 교통환경 등 정주여건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이경우 울발연 실장은 “울산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되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200개사 정도 유치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역 산업구조를 볼 때 입주수나 파생효과, 다양한 생산 및 고용발생 효과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김연옥 투자교류과장은 “외국계 기업유치로 글로벌 위상이 높아지고 외국인 고급기술 유입 등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차동형 울산TP 원장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이다. 울산은 전략적 산업을 선택했다. 수소의 경우, 부생수소가 많아 여건이 좋다. 오일허브도 에너지로 확대되고 있다. 연구소와 대기업 투자 등이 선행되고 난 후 경제자유구역에 지정되면 산업 가속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좌담회에서는 타 시도와 차별화된 추진전략으로 대기업 유치를 통한 연계 중소기업의 낙수효과가 제시되면서 현대모비스의 전장자동차부품, SK가스의 오일가스 비즈니스, 두산의 원전해체 등의 사례가 주요 예시로 설명됐다. 토론에서는 울산경제자유구역이 에너지산업을 중심으로 신산업 육성, 신서비스산업 창출은 물론 기존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및 성장촉진을 통한 지역경기 침체 극복 효과도 제시됐다.

한편, 울산시는 ‘동북아 에너지 허브’를 기본 구상으로 한 울산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서를 9월말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 시는 울산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이곳에 수소와 원전해체, 에너지 물류 산업 등을 중점 유치해 동북아시아의 최대 북방경제 에너지 중심도시로 육성할 계획이다.시가 계획하는 울산경제자유구역의 총면적은 8.12㎢로, 수소산업 거점지구, 일렉트로겐 오토밸리, 연구개발·비즈니스밸리, 에너지 융복합지구, 동북아 오일·가스지구 등 모두 5개 지구로 이뤄진다. 산업부 지정평가 등의 절차를 거친 뒤 2020년 상반기 결정될 전망이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