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능인 사회적기업 미담장학회 대표

최근 대입 정시모집 확대와 관련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조국 사태를 계기로 국회에서 정시 확대 목소리가 커졌고 최근에는 대통령까지 정시를 확대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많은 청년들이 최근 일부 사회지도층 부모가 만들어준 위조(?) 스펙으로 국내 명문대학에 간 사람들에 대해 분노했고, 결과적으로 ‘수시=불공정, 정시=공정’의 등식까지 등장했다.

필자는 과거 본지 교육 분야 칼럼을 통해 입시 제도의 공정성 차원에서 일시적 정시 확대는 필요할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대학의 구조 개혁을 포함한 총체적 교육 개혁을 통해 대학이 원하는 인재를 자율적으로 뽑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주장을 한 바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수시와 정시로 나누어지는 대한민국 입시에서 정시 확대가 무조건 옳은 방향인지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우선, 수능 위주의 입시를 기준으로 정시(定時; 일정한 시기)모집과 수시(隨時; 때때로, 그때그때)모집을 나눈다. 하지만 이런 고정된 틀 속에서는 ‘정시’라는 단어 자체가 공정한 느낌을 주게 된다. 따라서 ‘정시인가 수시인가?’라는 물음에 최소한 정시가 50%는 되어야 공정하다고 답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이치일지도 모른다. 일정한 시기에 모집하는 것이 그때그때 모집하는 비율보다 적으면 제도 자체가 불안해 보이지 않겠는가?

하지만,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는 대한민국에서 수학능력시험의 ‘객관식 5지 선다형 문제’를 신속히 푸는 실력이 가장 중요한 수학능력이 맞는지부터 점검할 필요가 있다. 과거 산업화시대에서는 많은 지식을 암기하고 산업현장에서 신속하게 활용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했다. 하지만 4차산업혁명 시대에서는 단순한 계산부터 복잡한 계산에 이르기까지 AI가 사람의 역량을 대체하고 있다. 앞으로의 인재들은 기본적인 문제해결력을 바탕으로 새롭게 만나는 문제를 인식하고 다시 정의해서 산업현장에 적용하는 능력이 암기를 바탕으로 단순 계산하는 역량보다 더 많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정시 위주의 선발은 지역 학생들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한 언론의 조사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 중 31%에 해당하는 지역에 사는 학생들이 정시모집을 통해 서울대학교에 가지 못했다고 한다. 지역에 사는 학생들이 공부를 서울 강남 8학군 학생들에 비해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아서 그런 것 아니냐는 반론을 제기할 수 있겠지만, 수도권과 지역의 정보 격차, 교육 여건 격차, 사교육 격차가 분명히 존재하는 이상 다양한 기회를 보장하는 수시 모집을 무조건 축소하는 것은 지역의 교육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의사 결정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시는 무조건 옳고 수시는 무조건 불공정하다는 시각은 미래 교육의 본질과 수도권-지역의 균형발전 측면에서 위험성이 있다. 정시 확대에 대한 목소리가 가열된만큼 반대 입장도 신중하게 들어보고 정시-수시 논쟁을 뛰어넘는 대대적인 교육 개혁을 이루어내야 한다. 장능인 사회적기업 미담장학회 대표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