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300병상 규모로 결정됐던 울산 산재전문 공공병원의 규모가 500병상으로 대폭 늘어난다. 300병상과 500병상의 차이는 의료 혜택을 받는 시민들 입장에서는 엄청난 것이다. 특히 울산시가 응급의료센터, 심뇌혈관센터 설치 등 공공보건의료 기능을 대폭적으로 강화하겠다고 하니 이보다 반가운 일이 없다. 복지부는 울산지역을 2개 권역으로 나눠 환자들이 편중되지 않도록 ‘중진료권역’을 설치하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한다.

울산 산재전문공공병원은 올해초 국무회의에서 예타면제사업으로 통과된 것으로, 시민들이 가장 바라던 숙원 사업이었다. 산재병원이 전국적으로 10개나 되고 그 중에서 서울경기지역과 강원도에 3개씩의 병원이 설립돼 있지만 전국 최대의 산업단지를 끼고 있는 울산에는 아예 산재병원이 하나도 없었다. 이 와중에 지역 산재병원 역할을 해왔던 울산대학교병원마저 상급병원에서 탈락해 시민들은 크게 낙심했다.

그러나 올해초 산재전문공공병원이 예타면제사업으로 지정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됐다. 의료수준이 낙후된 울산의 중심에 국립병원이 생겨난다는 것은 산재환자를 포함한 모든 시민들의 생명과 직결돼 있는 사안이다. 울산시가 울산 산재전문 공공병원을 크게 보강해 공공보건의료 기능을 대폭 강화하기로 한 것도 시의적절하고 타당한 판단이다. 특히 응급의료센터와 심뇌혈관센터 등은 공공보건의료 기능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의료시스템이다. 환자들의 생명이 왔다갔다하는 중요한 순간에 믿을만한 국립병원이 가까이 있다는 것은 무엇보다 큰 위안이다. 울산이 산업도시인만큼 산재병원도 절실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공공의료 부문의 확대를 통한 의료수준 향상도 시급하기 때문이다.

복지부가 지역별 책임의료기관을 지정하기로 한 것도 시민들에게는 환영할만하다. 상급종합병원 중심으로 나눠진 10개 진료권역 아래에 70여개의 ‘중진료권역’을 만들어 지역별로 ‘공공보건의료 책임의료기관’을 지정하겠다는 것이다. 복지부는 울산을 2개 중진료권으로 나눠 권역별로 1개씩 2개 병원을 선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울산의 의료 체계는 동쪽과 서쪽으로 합리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 동안 언양 등 서부권 환자들은 대학병원까지 가는데 1시간 이상 걸리는 불편을 겪어야 했다.

현재 근로복지공단은 산재전문 공공병원 기본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최대 관심사는 ‘공공의료 기능’을 얼마나 담을지 여부다. 울산시민들은 그 동안 산재전문병원 외에 별도의 공공의료 기능을 가진 국립병원을 요구해 왔다. 그만큼 시민들은 공공병원 기능에 기대를 걸고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