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제외 14개 시·도 중...울산, 소멸 우려 비율 최고

▲ 자료사진

암울한 지역경제 상황 반영
단기간 소멸 가능성 낮지만
중장기적인 전망은 부정적

울산시민 10명 중 8명 꼴은 지역 경제위축, 일자리 감소 등으로 향후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이 소멸될 것으로 우려했다.

10일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녀 1308명을 대상으로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울산 시민의 78.4%는 향후 지역소멸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이같은 지역소멸 우려 비율은 조사대상 시도(평균 60.6%)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다만 ‘10년 이내’ 소멸할 것이라고 답한 울산시민은 23.4%에 그쳐 타지역보다 비율이 낮았다.

 

이는 ‘울산은 단기간에 소멸할 가능성은 낮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소멸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울산시민은 보고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역소멸이란 경제위축, 일자리 감소, 저출산 고령화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교육, 경찰, 소방 등의 행정기능을 포함한 지역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소멸 가능성 응답비율은 울산에 이어 전북 77.2%, 세종 77.0%, 경북 67.6%, 충남 66.3%, 강원 65.1%, 전남 64.9%, 경남 60.6%, 부산 56.1%, 대구 51.3% 순으로 높았다.

 

‘지역소멸 시기’를 묻는 질문에 울산주민의 23.4%는 ‘10년 이내’로 답했다. 타지역의 경우 ‘10년 이내 소멸’ 응답률은 충북(48.6%), 전남(47.4%), 세종(45.1%), 경북(41.7%), 대구(40.7%), 대전(39.6%), 부산(37.3%), 경남(31.8%) 순으로 높았다.

울산시민이 이처럼 지역소멸 가능성을 높게 보는 이유는 최근 수년간의 지역경제 악화(주력산업 생산부진, 수출 감소 등)와 일자리 위축(실업률 증가 등), 저출산·고령화 등 복합적인 지역 경제상황이 좋지 않음을 피부로 느끼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울산시민은 지난해 대비 올해 지역의 체감경기가 전국에서 가장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울산시민은 올해 울산경제를 작년의 62.8%(작년 지역경제를 100이라 할 때, 올해의 지역경제 수준) 수준에 그친다고 판단했다. 지방민 평균 올해 체감경기 수준은 작년의 70.0%로 울산보다 7.2%p 높았다.

올해 체감경기 악화 지역은 울산에 이어 충북(64.2%), 부산(66.1%), 대구(66.8%), 경남(67.3%) 순으로 조사됐다.

일자리 체감경기 역시 울산이 가장 차가웠다.

울산시민은 지난해 대비 올해 지역의 일자리 수준을 61.6%로 평가했다. 울산에 이어 일자리 감소폭이 큰 지역은 강원(전년비 64.8%), 세종(전년비 64.8%), 경북(전년비 65.0%), 대구(전년비 65.9%) 순으로 조사됐다.

지방민은 이 조사에서 지역경제 위축 원인(전국)으로 지역산업 위축, 지역재정 악화, 지역소비 부진, 지역인구 감소, 지역부동산 가격 하락 등의 순으로 꼽았다.

또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으로는 지역산업 활성화, 저출산·고령화 대응, 지자체 투자 유치, 보조금·수당 등 지원확대, 도로·철도 등 인프라 확충 등으 순으로 주문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지방경제는 최근 제조업 악화→인구 감소→서비스업 위축→주택 및 부동산 침체→인구 감소→내수기반 약화라는 악순환 구조 속에 갇혀있다”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산업구조의 개편, 관광산업 활성화 등 지방 자생력 확충을 위한 지원에 나서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11월29~12월 1일에 했고,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7% 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