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지정하는 ‘미래형교육자치협력지구’ 사업에 울산시 중구가 선정됐다. 미래형교육자치협력지구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는 혁신교육지구를 심화한 모델이다. 지난 2011년부터 경기도 6개지구로 시작해서 현재 14개 시도 150개 지구로 늘어났으나 울산에서는 올해 처음 중구가 선정된 것이다. 울산 중구는 내년에 교육부로부터 3억원을 지원을 받아 ‘배움·소통·나눔으로 마을과 학교를 이어가는 중구 마을교육공동체’를 실현해나갈 계획이다. 자치단체가 지역을 교육공동체로 만드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고도 필요한 일이다.

‘아이 한명을 키우는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고 했다. 교육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교육의 목표는 건강한 사회를 위한 좋은 인간을 만드는 것이며 그 일은 마땅히 지역사회가 함께 해야 한다. 교육행정을 교육청에 일임해놓고 자치단체가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지역의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상상력이 마을 속에서 펼쳐지는 도시가 곧 살기좋은 도시, 정주여건이 좋은 도시인 것이다. 성숙된 교육환경은 도시의 미래를 위한 가장 중요한 인프라다. 그럼에도 울산의 자치단체들은 그동안 교육을 교육청에만 맡겨놓고 지원과 협력에 소홀했던 게 사실이다.

우리 국민의 교육열은 세계에서도 첫손에 꼽힌다. 세계전쟁의 소용돌이를 겪고서도 민주화와 경제발전을 동시에 이룬 유래가 없는 성공도 바로 그 교육열에서 비롯됐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그런데 근래들어 교육열이 대학입시라는 하나의 관문에 집중되면서 ‘내 아이만 잘 되면 된다’는 건강하지 못한 교육풍토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왜곡된 교육풍토를 바로 잡으려면 자치단체가 나서야 한다. 입시에 함몰된 교육이 아니라 다양한 능력의 발굴과 개발을 통해 모두가 성공하는 사회를 만드는 ‘마을교육공동체’가 절실한 시점이다.

앞서 실행된 미래교육지구 특색사업을 보면 대학교·대학원, 연구 및 산학협력기관(대) 아동·청소년(청) 마을의 자원(마)이 모여(루) 초등부터 대학, 성인까지 모든 세대의 지역 교육자원을 통해 배움을 지원하는 ‘온마을 캠퍼스 프로젝트 대·청·마·루’(서울 성북·강북)를 비롯해 경기 시흥의 ‘한국형 지방교육자치의 선도모델’, 부산 사하의 ‘사하마을학교’ 등이 있다.

울산도 중구혁신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마을교육자치회를 구성하고 마을 내 배움터 발굴 등의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이번 미래형교육자치협력지구사업을 통해 중구와 교육청이 성공적 미래형 교육공동체를 조성, 울산지역내 다른 자치단체로 파급돼 나갔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