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23일 ‘지진에 강한 안전도시 울산’을 만들기 위해 ‘2020년 울산시 지진방재종합계획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울산시는 전국 17개 시·도 중 내진성능 확보율 2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1위는 세종시였다. 세종시는 거의 모든 건물이 새로 지어진 건물이다. 울산의 내진성능 확보율은 큰 자랑거리가 아니다. 울산은 오히려 화약고 같은 도시이기 때문에 다른 도시 보다 훨씬 강화된 규제가 필요하다. 순위 보다는 내실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기상청이 본격적으로 지진관측을 시작한 것은 1978년부터다. 이후 2016년 9월12일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국민들은 화들짝 놀랐다. 집이 부서지고 물건이 떨어지는 등 피해는 막대했다. 이웃 일본이나 먼 나라의 일로만 여기던 지진이 막상 발생하자 시민들은 혼비백산했다. 경주 지진 이후 한반도에서는 규모 3.0 이상의 지진 발생 빈도가 연평균 9회에서 18회로 두배나 증가했다.

울산은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도시인 동시에 지진이 발생하면 광범위고도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도시다. 연약지반이 많고 곳곳이 산업단지로 이뤄져 있다. 지진이 발생하면 산업단지에서 폭발, 가스누출 등이 연쇄적으로 발생, 울산 전역을 불바다로 만들 수도 있다. 여기다 울산은 양산 단층대를 비롯한 많은 활성단층대가 거미줄처럼 얽혀 있다.

다행히도 울산시는 이같은 울산의 약점을 보강하기 위해 특별히 ‘울산형 지진방재종합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5년 단위 지진방재종합계획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보고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만해도 32%에 불과하던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률이 올해말 78.8%까지 상승했다. 내진보강 대상 1151곳 중 907곳의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이다. 학교시설에 대한 내진보강도 지속적으로 이뤄져 내진보강률은 79.7%까지 올랐다. 2017년 12월부터는 2층 이상 또는 연면적 200㎡의 모든 민간건축물도 내진보강 의무적용 대상이 돼 68.2%가 내진성능을 확보했다. 2017년만해도 민간건축물 내진율은 44%에 불과했었다.

울산시는 2025년까지 내진성능 100%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을 ‘지진에 안전한 도시’로 만들겠다는 울산시의 의지는 충분히 공감할만 하다. 그러나 ‘내진성능 확보율 1순위’나 ‘내진성능 100%’라는 등의 문구에 매달리다 보면 내실을 놓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지진은 한번 나면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