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으로 확정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지난해 4월 울산과 부산시가 공동유치에 성공해 울주군과 기장군의 접경지점에 설립하게 된다. 세계 원전해체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비영리 출연사업으로 인정함으로써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게 된 것이다. 이로써 원전해체연구소의 설립이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이사회의 심의·의결만으로도 건립이 가능해짐에 따라 2021년 착공,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잡았다. 이 계획대로라면 2023년이면 기술확보에 들어가게 된다. 애초 2014년 10월 당시 미래창조과학부가 2019년까지 1473억원을 들여 755㎡ 규모의 원전해체센터를 설립하겠다며 2015년 입지선정을 위한 공모를 시작했다. 당시에도 울산은 공모에 참여했었다. 하지만 정부는 먼저 원전해체 경험을 갖고 있는 미국 등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노하우를 쌓아야 한다는 이유로 원전해체센터 건립을 중단하고는 기술확보에도 나서지 않았다.

‘선 연구소 설립­ 후 기술력 확보’라는 정책으로 원전해체센터를 먼저 설립했더라면 기술력과 시장점유 경쟁력에서 지금과는 비교도 되지 않았을텐데 안타까움이 크다. 우리나라는 세계 원전해체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적잖은 기술을 더 확보해야 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원전해체에 필요한 핵심기술 가운데 우리나라는 현재 17개 기술만 갖고 있다. 해체 준비와 제역, 폐기물 처리, 환경복원 분야에 걸쳐 21개 기술은 확보하지 못했다.

늦었지만 정부가 원전해체산업에 본격 나서기로 한 것은 관련 산업기반이 조성돼 있는 울산으로서도 매우 다행이다. ‘에너지허브도시’를 꿈꾸는 울산에 있어 원전해체산업은 중요한 성장동력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2050년까지 세계 각국에서 해체해야 하는 원전이 420기에 이른다. 국내시장도 2050년이면 13조원에 달한다고 한다. 한시가 급하다.

원전해체산업의 빠른 성장을 위해서는 원전해체연구소와 더불어 원전해체산업융복합단지 지정이 필수다. 시험평가기관, 창업수출지원센터, 전문기술교육센터와 관련기업들이 말그대로 융복합돼 있어야 한다. 원전해체산업 융복합단지 설립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이고, 그 위치가 울산이 돼야 하는 이유이다. 울산시는 산업부가 올해 상반기로 예정하고 있는 원전해체산업 융복합단지 지정 공모에 뛰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이 새만금과 광주·전남에 돌아갔던 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아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