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산재사고 사망자가 크게 줄어들고 있는 반해 울산은 오히려 더 늘어날 기미를 보이고 있다. 산재사고 사망률이 높다는 것은 그 지역의 산업 현장이 후진적인 형태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산재사고 가운데 이른바 ‘위험의 외주화’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면 더 강도 높은 단속과 점검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울산은 근대화와 함께 국내 최대의 산업단지가 잇따라 들어서면서 산재사고의 천국으로 오명을 떨쳤다. 특히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 석유화학단지 등에서는 근로자들이 건조 중이던 선박에서 떨어지거나 제조 중인 자동차 라인에 신체가 끼이는 등의 산재사고가 비일비재 했다. 석유화학단지에서는 폭발, 화재 등의 사고가 하루가 멀다하고 일어났다.

울산의 산재사고 사망자는 지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40~50명 선을 유지하다가 지난 2017~2018년 22명으로 뚝 떨어졌다. 그러나 지난해 사망자는 다시 25명으로 늘어나 올해 말까지 어떤 곡선을 그릴지 알 수 없는 상태다. 산재사고는 그 특성상 조금만 방심하면 금방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7일 고용노동부는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9년 이래 처음으로 산재사고 사망자가 800명대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특히 산재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건설업의 지난해 산재사고 사망자는 428명으로, 전년보다 57명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건설업 산재 사망의 주된 원인은 ‘추락’과 ‘부딪힘’이었다. 정부는 앞으로 지난해와 같은 감소 폭이 이어진다면 산재사고 사망자는 오는 2022년 600명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울산은 산재 사망자가 오히려 증가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하청업체의 사망사고는 눈여겨 볼 대목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산재 사망자 가운데 하청 노동자의 비율은 무려 38.8%에 달했다. 울산은 건설업체 산재 사망자가 지난 2018년 10명이었으나 지난해는 14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울산에서는 건설업체, 그 중에서도 하청업체서 사망사건이 주로 일어남을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산재사고 사망자가 많다는 것은 도시의 후진성을 반영한다. 울산이 최고의 안전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산재사고 사망의 원인을 좀 더 철저히 분석하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 산재도시의 오명을 벗어날 수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